BEA, 솔라메트릭社 인수 통해 시장 선도 ‘EJB 3.0’ 및 ‘자바 EE 5’ 호환기술 선점
BEA는 이번 인수를 통해, 솔라메트릭의 기술을 적용한 BEA 웹로직 서버 제품군 차기 버전들의 빠른 출시뿐만 아니라, ‘자바 EE 5’ 구현 부문에서 선도기업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선진 기술의 확보 및 통합, 개선, 혁신 프로파일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솔라메트릭은 ‘EJB 3.0’와 ‘자바 데이터 오브젝트(JDO: Java Data Objects)’를 모두 지원하는 ‘코도 퍼시스턴스 엔진(Kodo™ persistence engine)’ 제공 업체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솔라메트릭의 O/R(Object/Relational) 매핑 레이어(layer)는 업계에서 최상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BEA는 솔라메트릭의 ‘코도 퍼시스턴스 엔진(Kodo persistence engine)’와 ‘코도 디벨롭먼트 워크벤치(Kodo Development Workbench)’를 포함하는 기존의 모든 제품들을 계속 제공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2006년 하반기로 계획된 BEA 웹로직 서버(WebLogic Server?)의 업데이트 버전에 코도 엔진이 통합되고, BEA 웹로직 워크숍(WebLogic Workshop™) 제품 라인을 통해 EJB 3.0를 지원할 계획이다.
EJB 3.0 표준은 메모리상의 객체(in-memory obeject)를 관계형(relationa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쇼핑 카트나 티켓 예약 등의 임시 객체들이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JDO 스펙은 메모리상의 개채를 관계형 DB에 저장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하며,
‘코도 퍼시스턴스 엔진’은 EJB 3.0 과 JDO용 개발자 바인딩을 함께 제공하여 개발자들이‘EJB 3.0’과 JDO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혼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개발자들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메모리상의 객체를 관계형 DB에 저장하기 위해 JDO 규격을 사용하거나, EJB 3.0의 초기 버전을 사용하면서 스펙의 변경되는 부분을 업데이트 하는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BEA시스템즈코리아의 김형래 사장은 “솔라메트릭의 코도 엔진을 통해 BEA 웹로직에 JDO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고, “이는 IT 자산의 유동성을 높여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이는 자사의 ‘싱크 리퀴드(Think liquid)’ 비전과 맞물려, 프로그래머들이 기본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모델과 관계없이 자바 프로그램을 손쉽게 개발하고, 네트워크간에 손쉽게 비즈니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IT 자원을 재활용 가능한 서비스 및 객체로 확장함으로써 BEA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비전 실현을 위한 또 하나의 핵심 축이라 할 수 있다”라고 의의를 밝혔다.
[참고]
BEA TO ACQUIRE SOLAMETRIC SOFTWARE FAQ
FAQ일반
Q. 이번 BEA의 발표는 무엇인가?
A. BEA는 개발자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퍼시스턴스(persistence)와 객체관계 매핑(O/R: Object Relational)의 특화된 소프트웨어를 가진 솔라메트릭(SolarMetric)을 인수한다.
Q. 왜 이번 인수가 중요한가? 이번 인수가 BEA의 전체적인 전략에 얼마나 적합한가?
A. 이번 인수는 상업용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솔루션을 결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배치를 위한 BEA의 “블렌디드(blended)”전략으로써 매우 중요하다. 솔라메트릭사는 BEA가 새로운 엔터프라이즈 자바 기술에 있어 주도권을 지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EJB 3.0 및 JavaTM EE 5.0 호환기능에 있어 IBM과 같은 경쟁사보다 훨씬 앞서 나갈 수 있는 견고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솔라메트릭은 현재 Kodo제품을 이용한 EJB3.0 초기버전을 제공한다.
[상세 기술] 솔라메트릭사 인수의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JDO(Java Development Object)나 EJB 또는 이 두 가지 기술 모두를 통하여 고성능으로 퍼시스턴스 엔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개발자로 하여금 그들이 선호하는 API나 양쪽 기술(JDO 및 EJB)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선택권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Q. 고객에게 이번 발표는 무슨 의미가 있는가?
이번 발표에 있어서 3가지 핵심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것이 개발자에게는 희소식으로 이러한 새로운 기술 혁신은 코딩에 있어 주목할 만한 비용 및 시간절약과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비즈니스에 있어 만족할 만한 생산성의 증대를 촉진한다. Kodo기술은 또한 JDO나 EJB를 통해 퍼시스턴스 엔진에 접근하는 2가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개발자에게 선택권 및 유연성을 가져다 준다.
두번째로 지금까지 테스트된 Kodo 기술은 아주 확장적이며, 고성능이고 주목할 만한 개발 용이성 증진을 통해 작업이 곧 코드임을 입증해준다.
세번째로, 앞서 언급했듯 우리의 고객이 요구해오고 있는 블렌디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치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EJB3라 불리우는 중요한 신규 자바 스펙의 채택에 있어 선도적인 참여를 의미한다. 또한 고객들은 BEA가 Kodo를 이용, 웹로직 서버 및 다른 제품에서 이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EJB3 스펙의 최종승인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고객들은 BEA라는 한 벤더로부터 자사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스트럭쳐 소프트웨어의 모두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Q. 왜 BEA는 솔라메트릭을 선택했는가?
A. 솔라메트릭은 성능, 유용성, 스펙준수, 유연성에 초점을 둔 JDO, EJB3와 객체관계 매핑에 있어 업계 선도주자이며, 그들의 기술과 경험은 J2EE기술에 있어 BEA가 세운 우수한 기록에 견주어 볼 때 아주 적합한 솔루션이다.
Q. 퍼시스턴스? 매핑? 그것이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A.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상에 고객 이름, 주소, 프로파일,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가치있는 정보를 포함한 수많은 객체들을 조작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객체관리에 있어 똑같이 중요한 것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같은 데이터 저장소로 이 데이터를 넣거나 빼낼 수 있는 읽기와 쓰기이다. 이 데이터 쓰기의 프로세스를 우리는 “퍼시스턴스(persistence)”라고 부르며, 영구적인 캐쉬 형태에 이러한 객체들이 가용하도록 보장해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객체 집합의 성격은 하나의 도메인에서 다른 쪽으로의 데이터 매핑이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 큰 이슈가 되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집합과는 아주 다르며, “OR매핑 또는 객체 관계 매핑”이라 불리우는 이 기술은 고수준의 개인화, 보안, 웹 트랜잭션 등을 제공함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Q. “퍼시스턴스”와 EJB, “퍼시스턴스”와 JDO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A. EJB스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퍼시스턴스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JDO는 메모리상의 객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장치, 예를 들면 파일서버와 같은 “퍼시스턴스”로 보내는 것이다.
Q. KodoTM란 무엇인가?
A. kodo는 솔라메트릭사의 고성능 퍼시스턴스 엔진이며 이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나, 저수준의 데이터 퍼시스턴스와 연결하는 것을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써 개발자가 효과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만들어내는 데 전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Kodo는 JDO와 EJB 표준의 API모두를 결합하며 이러한 유연성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JDO와 EJB 를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개발자가 선호하는 API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고, 표준화되어진 퍼시스턴스 구현과 빠른 O/R매핑 레이어에 있어 업계를 주도하고 있다.
Q. Kodo EJB란 무엇인가?
A. Kodo EJB는 솔라메트릭사의 EJB3 구현의 초기 릴리즈이다. 현재까지도 EJB3스펙은 아직 최종 승인되지 않은 상태이며, 주제의 변경과 EJB3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주로 새로운 피드백을 제공받고 있기 때문이다. EJB3 전문가 그룹에서 활동중인 솔라메트릭사는 고객들의 요구가 이 새로운 스펙에 반영되는 것에 대해 그리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이 초기 릴리즈는 퍼시스턴스 구현에 대해 실험적으로 보장해주는 것이지만 이것이 차기의 제품 환경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Q. EJB3.0에 대한 상세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A. EJB3.0은 Java Specification Request 220(JSR-220)으로서 자바 커뮤니티 프로세스(JCP)를 통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멤버들의 최종승인 투표가 이루어질 때까지 완성되지 않을 것이다.(약 2006년 상반기중에 승인될 것으로 보인다) - BEA는 이에 참여중인 전문가 그룹의 일환이다
http://jcp.org/en/jsr/detail?id=220
Q. JDO2.0에 대한 상세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A. JSR243으로서 JCP에서 개발되어지고 있다.
http://jcp.org/en/jsr/detail?id=243
Q. 언제 어떻게 BEA가 Kodo를 웹로직 서버와 워크샵에 통합될 것인가?
A. 장기계획으로 BEA는 솔라메트릭의 EJB3.0 구현체를 웹로직 서버 9.0의 출시에 맞춰 제공할 계획이다. 이 시점에 정확한 발표시기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BEA가 현재 웹로직 8.X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도 Kodo를 지원하도록 할 예정이며, 현재 EJB3.0을 위한 이클립스 기술을 제공하는 동시에 향후 EJB3 툴을 지원하기 위해 투자하고 있는 중이다.
Q. BEA는 EJB3.0의 초기 릴리즈를 사용하도록 할 것인가?
A. 그렇다. 솔리메트릭사은 현재 EJB3.0및 JDO2.0을 지원하는 Kodo4의 “Early Access”버전을 제공하고 있다.
Q. BEA는 Kodo의 JDO형태를 계속 지원할 것인가?
A. 그렇다. Kodo에서 JDO API지원을 없앨 계획은 가지고 있지 않다.
재정 정보 :
Undisclosed.
경쟁사
Q. 이것과 견줄만한 경쟁상대는 어떻게 되는가?
A. 오라클이 Top Link을 가지고 있으며, 고성능이며, 구조적이다. 하지만 고성능이란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기가 상당히 복잡하다. 그에 비해 Kodo는 훌륭한 개발자 툴을 가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bea.co.kr
연락처
BEA 시스템즈: 송정은, 767-6846
홍보대행 코콤포터노벨리: 정은경 과장, 6366-1516 / 016-790-3607 송창민 AE, 6366-1510 / 017-205-5435
이 보도자료는 BEA시스템즈코리아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8년 5월 7일 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