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먼델 교수, 명사강연 발표내용

서울--(뉴스와이어)--강연주제 : APEC의 투자, 무역, 자본시장과 세계 경제(Investment, Trade and Capital Markets in APEC. And the World Economy)

먼델교수는 이번 강연을 통해 국제금융체제의 2차 대전 종전 후의 달러 중심의 고정환율제에서 오늘날의 변동환율제로의 이행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각 회원국이 나름의 변동환율제에 기반한 금융 민족주의를 채택해야 할지 아니면 고정환율제에 기반한 금융국제주의가 바람직한지가 최근 APEC 지역의 화두로 등장한 바 있다.

먼델교수는 APEC국가들은 고정환율제에 기반을 둔 유럽식 모델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계 경제의 60% 가량을 차지하는 통화 블럭의 창출은 역내 무역 및 투자 효율화는 물론 더 나아가서 성장과 번영을 촉진할 것이라고 평가한다.

몇 달 전까지의 상황으로 볼 때 말레이시아와 홍콩 등 몇몇 회원국 뿐 아니라 중국-미국간에도 고정환율제가 실시되었고 APEC 회원국들이 대다수 고정환율제를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APEC의 중요 회원국인 양국이 자유무역과 안정적인 환율체제를 옹호하는 등 협력을 해 나아간다면 아시아 국가들은 번영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시나리오에서 가장 문제가 된 점은 바로 미국의 태도이다. 미국의 주장대로 양국 간 무역균형을 추구하고 중국이 고정 환율을 폐지하고 위안화 절상 및 변동환율제를 채택하도록 압력을 넣는 것은 경제 이론에 어긋난다.

갑작스러운 위안화 절상은 중국 경제의 침체를 불러오고 아시아 경제 발전에 종말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의 파멸을 불러올 것이다. 또한 1980년대 공급중심 경제학의 혁명, 1990년대의 IT혁명, 2000년의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장기간 지속된 성장을 위협할 것이다.

중-미관계는 오늘날 정치 경제 등의 측면에서 평정 상태를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향후 10년은 중국에게 있어 풍요를 달성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며 이 기회를 놓친다면 중국은 엄청난 인구로 인해 성장이 저해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성장은 중국 뿐 아니라 전 세계에도 중요하며 미국은 중국의 환율에 대한 잘못된 집착을 버려야 한다. 최근의 섬유부문의 합의는 문제해결을 향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미국이 보기에 중국산 장난감이 너무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되고 있다면 중국산 장난감에 대한 수입 중단 조치를 취하면 될 일이다.

그 편이 중국이나 여타 아시아 국가들에게도 득이 되는데, 위안화의 갑작스런 절상은 중국의 금융체제 약화, 디플레 야기, 경제성장을 정체시키고, WTO 체제 이행을 저해하도록 강요하여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투자정책과 김창룡 과장, 김현철 사무관 02-2110-5352~3
산업자원부 홍보담당관실 이춘호 02-2110-501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