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마케팅 최적화 플랫폼 ‘MOP’ 1년 만에 고객 800여 곳 확보

뉴스 제공
LG CNS
2024-05-23 08:54
서울--(뉴스와이어)--DX 전문기업 LG CNS가 지난해 5월 출시한 마케팅 최적화 플랫폼 ‘MOP(Marketing Optimization Platform)’가 1년 만에 800여 개 기업 고객을 확보하며, 광고 업계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 고객들이 ‘MOP’를 통해 취급하는 광고 금액도 1년 만에 1000억원을 돌파했다.

‘MOP’는 기업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 광고 집행 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포털 검색광고[1] △쇼핑 검색광고[2] △디스플레이 광고[3] 등의 운영 퍼포먼스를 최적화하는 플랫폼이다. ‘MOP’ 도입을 원하는 기업 고객은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광고 매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MOP’에 연동하는 것만으로 비즈니스에 즉시 적용할 수 있다.

‘MOP’가 업계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기업 고객이 기존과 동일한 광고비를 유지하면서도 소비자의 구매 전환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매 전환율은 소비자가 온라인 광고를 클릭해 실제 구매로 이어진 비율을 뜻한다. 기업 고객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검색광고는 △광고 게재 위치 △노출 시간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광고 비용을 실시간으로 입찰하고,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낙찰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하지만 기업의 광고 담당자가 회사에서 진행하는 수많은 검색광고를 일일이 분석해 실시간 입찰하고, 구매 전환율 등 광고 실적까지 관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LG CNS의 ‘MOP’다.

‘MOP’에는 AI와 수학적 최적화 기술이 적용돼 있다. ‘MOP’는 기업 고객의 △시간대별 광고 노출 수 △소비자의 광고 클릭 수 등 실적 데이터를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서 자동으로 수집한다. ‘MOP’에 탑재된 AI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광고 진행에 따른 실적 예측 모델들을 만든다. 수학적 최적화(Mathematical Optimization) 기술은 AI가 생성한 예측 모델들을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 입찰계획을 도출한다. ‘MOP’는 입찰계획에 따라 △광고 게재 위치 △노출 시간대 등을 고려해 최적의 광고 비용을 설정, 자동 입찰까지 실시한다. ‘MOP’는 진행 중인 광고 실적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시장 변화에 대응 가능한 새로운 예측 모델을 만들어 제시하기도 한다.

글로벌 여행 플랫폼 기업 트립닷컴은 ‘MOP’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다. ‘MOP’를 도입한 트립닷컴은 포털 검색광고 영역에서의 구매 전환율을 기존 대비 약 25% 증가시키면서도, 마케팅 비용을 32% 절감하는 성과를 보였다. ‘MOP’는 △소비자가 여행 준비를 위해 검색하는 키워드 △광고 게재 위치 △노출 시간대 △시간대별 경쟁 입찰가 등을 종합 분석해 트립닷컴의 검색광고를 운영 중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포털사이트에 ‘인천 바르셀로나 항공권’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하는 경우, 주어진 예산 내에서 최대의 클릭 수를 얻을 수 있는 위치에 트립닷컴의 광고를 입찰해 운영한다. ‘MOP’가 관리하는 트립닷컴의 광고 키워드 개수만 70만여 개에 달한다. ‘MOP’는 식품, 금융, 여행, 패션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 고객뿐만 아니라 광고대행사 등 800여 곳에서 사용 중이다.

‘MOP’의 우수성은 광고 업계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LG CNS는 지난해 12월 한국광고총연합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광고 시상식 ‘대한민국 광고대상’에서 퍼포먼스마케팅 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같은 달 진행된 한국디지털광고협회 주최 ‘2023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대상’에서는 애드테크(Ad Tech), 검색퍼포먼스 2개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LG CNS는 ‘MOP’의 기술 고도화도 추진 중이다. 기업 고객만이 보유하고 있는 실제 구매 전환 데이터 등을 ‘MOP’와 API[4]로 연동시켜 더욱 정교한 광고 예측 모델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LG CNS는 고도화된 ‘MOP’를 트립닷컴에 우선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LG CNS는 ‘MOP’를 사용 중인 다양한 기업 고객과도 고도화 버전 적용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LG CNS는 하반기 중 ‘MOP’를 미국 광고 시장에도 선보일 예정이다. LG CNS가 타깃으로 삼는 광고 매체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이다. LG CNS는 기업 고객들이 ‘MOP’를 통해 아마존 검색광고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 CNS 김범용 CX Digital Marketing사업담당은 “기업 고객들이 MOP를 통해 차별적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지속 고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 포털 검색광고: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서 키워드를 검색할 때 노출되는 광고
[2] 쇼핑 검색광고: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키워드를 검색할 때 노출되는 쇼핑영역에서의 광고
[3] 디스플레이 광고: 네이버·카카오·구글 등 포털사이트, 유튜브, SNS 등에서 진행하는 이미지와 영상을 통한 광고
[4]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웹사이트: http://www.lgcns.com

연락처

LG CNS
언론홍보팀
박선오 책임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