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대학교 ‘2025 디지털새싹 전국강사 워크숍’ 주관… 공교육 AI·SW 확산 본격 시동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 전국 강사교육 본격 시작
디지털윤리·AI 교육 전국 확산의 기점, 현장 중심 강사교육 실시
참석자 150명, 현장 만족도 높아… K-안전 기반 교육 콘텐츠 체험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 전국 5000여 명 대상 본격 시작
이번 강사 워크숍은 총 12억 규모의 디지털새싹 사업을 앞두고 강사진이 실제 운영할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습형 수업에 대한 현장 대응력을 키우기 위한 자리였다. 특히 경기대학교가 개발한 K-안전 기반 AI 교육 콘텐츠는 디지털 윤리, 사이버폭력 예방, 미디어 리터러시 등 사회적 감수성을 내포한 교육 내용으로 주목을 받았다.
워크숍 참가자들은 로봇, IoT, 공공데이터 기반 실습키트 등을 직접 체험하고, PBL 방식의 수업 설계 및 운영 매뉴얼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실제 수업을 대비한 체계적인 준비가 인상 깊었다’, ‘디지털 교육의 방향성과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고 입을 모으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경기대학교는 이번 사업에서 50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경기권 60%, 타 지역 40%의 비율로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체 과정은 1기(콘텐츠 초기 운영)와 2기(콘텐츠 고도화 및 확산)로 나눠 진행되며, LMS 기반의 자율학습 시스템, 학부모 연계 가이드, 민간자격 연계 프로그램 등 지속가능한 교육 생태계를 동시에 설계하고 있다.
2025 디지털새싹 경기대학교 사업총괄 이병대 교수(소프트웨어경영대학)는 “기술과 교육, 윤리를 아우르는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통해 강사들이 학생들과 함께 새로운 교육 문화를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며 “디지털새싹은 지역 격차 해소와 인재 양성을 위한 공교육 혁신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대학교 소개
경기대학교(京畿大學校, Kyonggi University)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위치한 수원캠퍼스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2가에 위치한 서울캠퍼스로 이뤄진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이다. 6개 단과대학에 64개 학과가 설치돼 있고, 대학원에 9개 대학원이 설치돼 있다. 13개의 부속기관, 부설 교육기관인 평생교육원과 국제교육원, 19개의 부설 연구소는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학문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경기대학교 2025디지털새싹: http://kyonggisw.quv.kr
웹사이트: https://www.kyonggi.ac.kr/
연락처
경기대학교
2025디지털새싹 홍보팀
남가아 홍보팀장
031-249-161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