샵백코리아, 올해 상반기 여행 플랫폼 및 C-커머스 중심으로 ‘고속 성장’ 달성
여행 스토어 이용 고객, 올해 상반기(2025년 1월~7일 기준) 기준 전년 대비 266% 증가
샵백을 경유해 테무에서 결제한 총 거래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3.2% 성장, 알리익스프레스는 84.1% 성장
올해 상반기(1월~7월) 기준 월간활성이용자수(MAU) 전년 동기 대비 2배 성장, 연내 100만 명 목표
샵백코리아는 급증하고 있는 여행 수요에 맞춰 호텔스닷컴, 아고다, 부킹닷컴, 트립닷컴과 같은 해외 여행 플랫폼뿐만 아니라, 국내 여행 수요에도 대응하고자 NOL(구 야놀자), 여기어때, 트립비토즈 등의 국내 여행 플랫폼과 활발히 제휴를 맺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항공, 클룩, Kkday, 에어알로 등 호텔, 항공권, 액티비티 업체와도 제휴를 맺어 여행 스토어에 대한 유저들의 선택지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1월~7월) 기준 샵백을 경유해 NOL에서 결제한 총 거래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322.1% 증가했으며, NOL 및 여기어때 합산 총 거래 금액은 월 평균 16%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e커머스(C커머스) 플랫폼 부문에서도 고속 성장을 이룩했다. 올해 상반기(1월~7월) 기준 샵백을 경유해 테무에서 결제한 총 거래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3.2% 성장했으며, 알리익스프레스는 84.1%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샵백코리아는 올해 상반기(1월~7월) 기준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성장했으며, 연내 100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샵백코리아 양인준 지사장은 “여행 수요 증가에 힘입어 샵백을 통한 숙박 예약 플랫폼 및 여행/액티비티 플랫폼의 거래량이 올해 상반기에만 무려 140%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샵백은 네이버페이(Npay) 머니카드 등의 카드 파트너십 및 다양한 챌린지 프로모션을 통해 유저들의 보다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결제 금액의 일부를 현금 캐시백으로 돌려받는 쇼핑 경험을 하는 이용자가 늘어나는 만큼, 시간이 더할수록 경유 쇼핑 플랫폼의 가치를 인식하고 활성화되는 효과가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샵백은 2014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쇼핑 경유 플랫폼으로, 한국, 싱가포르, 호주를 비롯해 전 세계 12개 시장에서 4000만 명의 유저를 보유하고 있다. 샵백코리아는 2020년 4월 이베이츠 코리아(Ebates Korea)를 인수하며 한국 시장에 출범했으며, 국내 앱테크 트렌드와 맞물려 누적 앱 다운로드 수가 지난해 말 100만건, 국내 론칭 5년 만에 누적 거래액 1조원을 돌파했다.
샵백코리아는 ‘포인트’, ‘적립금’, ‘쿠폰’이 아닌 실제 ‘현금’을 캐시백해줌으로써 스마트하고 알뜰한 소비를 지향하는 유저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오픈마켓, 패션, 여행, 디지털, 음식 배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유명 국내외 300여 개의 브랜드와 제휴를 맺고 있으며, 유저들이 제휴 스토어를 쇼핑하기 전 샵백을 경유해 결제하면 구매액의 일정 비율이 샵백 계정 내 캐시백으로 적립되고, 승인된 캐시백이 5000원 이상이면 은행 계좌로 환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샵백코리아는 지마켓, 롯데온,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의 국내외 오픈마켓은 물론, 패션 및 디지털과 여행 등 이커머스 업계 선두 가맹점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캐시백 적용 대상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오늘의집’, ‘컬리’, ‘NOL(구 야놀자)’ 등을 입점시키는 등 새로운 카테고리를 확장하고 있다.
샵백코리아 소개
샵백코리아(ShopBack Korea)는 2020년 4월 이베이츠 코리아(Ebates Korea)를 인수하며 한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3년 만에 앱 다운로드 수 100만 건을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샵백을 통해 결제한 유저가 3개월 이내 재결제를 진행하는 비율이 70%에 육박할 정도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증명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shopback.co.kr/
연락처
샵백코리아 홍보대행
컴웨이브
이영미 부장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