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장 월동 배추·무 포장출하 실시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농수산물공사(사장 노석갑)는 2006.1.1부터 가락시장 내 출하되는 배추·무 포장화 시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시범사업은 관행적으로 산물로 출하되는 배추와 무를 전량 포장화하여 산지와 도매시장의 물류개선, 유통비용 절감 및 도매시장의 환경 개선 등에 기여하기 위해 실시한다.

2005년 월동 배추는 가락시장에서 1월~3월까지 40,676톤이 반입되었고 이 중 26%만 포장품으로 출하된 바 있는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100% 포장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4월부터 출하하는 봄배추 및 고랭지배추를 대상으로 그물망 또는 플라스틱박스, 골판지박스 등의 시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포장 출하를 유도할 계획이다.

특히, 중도매인은 2006.1.1부터 포장된 배추·무 위주로 경매에 참여하고 시장 내에서는 다듬기를 하지 않고 판매키로 결의한 바 있으며 배추·무 주요 출하 주체인 전국산지유통인연합회도 포장화 사업에 적극 협력키로 해 원활한 사업 추진이 기대된다. 공사 관계자는 배추·무 출하자들은 포장이 아닌 산물출하로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참고자료] 월동배추 시범사업 추진 배경

중국보다도 못한 배추·무의 유통 실태!!
배추·무를 많이 소비하는 일본, 중국, 한국 중에서 대도시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우리나라만 다듬기와 선별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런 산물출하 관행은 중간 단계에서 청소비 등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발생시키고 투명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적정 가격을 보장하는데도 한계점을 보여 왔다. 실제 5톤 차량 단위로 거래되는 배추의 경우 다듬기 후 쓰레기로 처리되는 양(감모량)이 차 당 15~25%에 이른다.

배추·무를 다듬은 후 출하하면 각종 혜택이......
출하자가 배추·무를 출하할 때는 반드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정한 등급 기준으로 다듬기를 한 후에 출하해야 하며 그 요령은 다음과 같다. 배추는 겉잎과 오염된 잎을 제거하고 뿌리를 깨끗이 자른 후에 그물망을 사용해 포장 출하하고, 무는 잎을 3cm 이하로 자른 후에 PE마대를 사용해 포장 출하하면 된다. 이렇게 출하자가 산지에서 다듬은 후 포장출하를 할 때는 쓰레기유발부담금 면제, 포장재 비용 지원, 하역비 부담 면제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2006년에는 배추·무·마늘 포장화에 집중지원
공사는 그동안 배추·무·마늘을 포함하여 양배추·쪽파·대파·수박·알타리 무의 포장출하 지원해 왔다. 그러나, 2006.1.1부터는 물류기기공동이용 사업을 제외한 포장재 비용 지원은 배추·무·마늘에만 한정하여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개요
서울시가 운영하는 가락시장에 위치한 공공기관

웹사이트: http://www.garak.co.kr

연락처

농산팀 팀장 이 영 민3435-0401 016-364-6553법인과장 성 봉 기3435-0402 019-371-8865 담 당 자 김 승 로3435-0407 011-321-680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