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인 주간 펀드 시황, 중소형 株및 고배당 株펀드 모처럼 기지개

서울--(뉴스와이어)--중소형주 가치주와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펀드들이 주간수익률 상위권을 휩쓴 가운데 채권형 펀드들도 모처럼 강한 상승 탄력을 보여주었다.

지난 13일(금) 제로인이 펀드의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중소형주의 강세에 힘입어 성장형(약관상 주식 편입비 상한 70%초과) 펀드들은 1주일동안 평균 0 . 9 1% , 채권형 펀드들도 9 . 3 9% (연환산)의 주간수익률을 기록했다.

성장형 펀드의 주간수익률은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 0.51%보다 두배 가까이 높은 것인데, 이는 펀드들이 시장비중 대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는 중소형주가 강한 상승세를 보인데 기인한다. 같은기간 거래소 대형주가 0.48% 상승한데 반해 중형주 및 소형주는 각각 1.24%, 1.22%의 지수상승률을 보였다.

주식비중이 성장형보다 낮은 안정성장형(41~70%)과 안정형(40%이하) 펀드들도 지난 1주일동안 각각 0.51%, 0.38%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인덱스형 및 코스닥형 펀드들도 각각 0 . 5 2% 및 2 . 2 9%를 달성하였다.

설정액 300억원 이상인 성장형 펀드 운용사 29개사 중에서 한국운용, PCA운용이 각각 2.79%, 2.41%로 주간수익률 1,2위를 차지했고 칸서스운용(1.63%), CJ운용(1.50%), 푸르덴셜운용 (1.4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된 성장형펀드 146개의 주간성과를 살펴보면, 미래에셋투신의 미래에셋 3억만들기배당주식 1호가 3.38%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리고 Top10 펀드중에서 8개 펀드가 한국운용 펀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주 주식시장이 중소형주와 삼성그룹주, 화학주(주간 상승률 3.62%)가 강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3.20%에 달하는 성과를 낸 한국부자아빠거꾸로주식증권K- 2호의 10월말 보유종목은 화학업종이 12.38%로 주식성장형 펀드 평균 10.3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기준으로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비중이 각각 35.41%, 37.76%, 26.83%로 이는 성장형평균의 대/중/소형주 비중이 각각 70.57%, 23.57%, 5.87%인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이외에 한국부자아빠거꾸로주식A- 1ClassA가 3.19%, 한국골드적립식삼성그룹주식 1호가 3.19%, 한국삼성그룹주식형자(B)가 3.12%로 각각 3, 4, 5위에 랭크됐다.

이에 반해 1개월 이상 운용된 성장형 146개 펀드 중에서 18개의 펀드가 손실을 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알파운용의 알파그로스주식형펀드가 -1.26%, 그 뒤를 이어 농협CA운용의 농협CA마켓리더주식 1호가 -1.07%로 저조한 성과를 냈다. 그외에도 프랭클린운용의 Templeton Growth주식 시리즈인 2,3,4,5호가 각각 -0.42%, -0.48%,-0.50%,-0.58%의 수익률을 기록하여 손실을 보았다

알파그로스주식형 펀드의 약세는 상위보유 종목의 주가 움직임에서 찾을 수 있다. 이 펀드의 작년 10월말 상위 보유종목 및 주간 등락률은 다음과 같다. △현대차(편입비율 5.02%) -3.24% △국민은행(4.92%) -4.14% △현대중공업(3.86%) -4.16% △현대모비스(3.71%) -4.98% 등이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된 안성형 펀드 34개 중에서 약 1/2인 18개 펀드가 코스피 상승률(0.51%)를 초과했다. 대투운용의 가족사랑짱적립식혼합K- 1호가 1.45%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 뒤를 한국운용의 5개펀드가 나란히 2위부터 7위에 랭크되어 성장형에 이어 안성형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였다. 한국운용의 △ 한국부자아빠거꾸로A주식혼합W- 1호 1.37% △개인연금주식 2호와 1호 1.22% △KM신종개인연금성장혼합A- 1호 1.21% △ 개인연금주식 4호 1.21% △개인연금주식 3호 1.20%로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고 특히 개인연금관련펀드가 많은게 눈에 띄었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된 안정형 펀드 72개 중에서 1/4인 18개 펀드가 코스피 상승률(0.51%)를 초과했다. Top10개 펀드 중에서 6개 펀드가 배당관련 펀드이다. 랜드마크운용의 랜드마크1억만들기고배당혼합 1호가 1.01%로 가장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약세를 보이던 채권시장 시장이 3주만에 강세로 반전됨에 따라 채권형 펀드도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다. 국고3년물 기준으로 채권금리가 2005년 12월 15일 4.97%에서 지난 1월 5일 5.12%로 3주연속 상승하다가 1주일 뒤인 1월12일 5.01%로 한주만에 0.11%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채권형 펀드들은 연환산 수익률로 1주일동안 9.39%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주 연환산 주간수익률인 3.37%의 3배 가까운 성과이다.

또한 KIS단기채권지수(잔존만기 0.5~1년인 채권을 대상으로 함)가 5.72% 상승한 것과 비교할 때 3.67%포인트 높은 성과이다. 결과적으로 채권형 펀드들이 보유한 채권의 잔존만기가 벤치마크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회사채 및 국공채에 투자할 수 있는 공사채형으로는 9.58%, 국공채형은 9.16%를 기록해 국공채에 비해 공사채형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익률을 보여주었다.

설정액 300억원 이상인 채권형 운용사 20개 중에서 PCA운용이 한 주간 연환산수익률로 16.95%로 가장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했고 그 뒤를 이어 △ 한국운용 12.24% △ 미래에셋투신운용 12.05% △산은자산운용 11.57% △동양운용 11.43%를 나타냈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 된 채권형 펀드 56개 펀드 중 절반이 넘는 31개의 펀드가 한 주간 연환산수익률로 9%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에서 조흥의 Tops적립식채권 1호는 연 17.76%를 기록하여 가장 높은수익률을 거두었다. 이 펀드는 01/06일 기준 주간수익률로 연 -0.46%로 유일하게 마이너스수익률을 기록했지만 국채선물 투자성공으로 1위에 등극했다.

그 뒤를 이어 PCA운용의 PCA스탠다드플러스채권I-34호가 연 16.95%로 2위에 랭크되었다. 그외에 한국운용의 △부자아빠장기주택마련채권A- 1호(연16.62%) △부자아빠퇴직채권 1호(연16.26%) △ 개인연금공사채 7호(연16.21%) 등이 각각 3,4,5위를 기록했다.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01/12일 기준) 지난 한 주간 총 수탁고는 1조 1,906억 증가한 210조 9,250억으로 집계됐다. 증권 및 단기 자금의 주간증감을 살펴보면 주식형이 9,807억, MMF 가 4,092억 증가한 반면 채권형은 3,625억 감소하였다. <제로인 원윤정 펀드 애널리스트>

웹사이트: http://www.funddoctor.co.kr

연락처

제로인 마케팅팀 김병철 이사 02-3775-1602 (168)
제로인 손승완 과장 02-3775-1602(17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