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장 취임 기자간담회에서의 신선희 씨 주장에 대한 민예총 논평

서울--(뉴스와이어)--예술가의 개별적 취향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국공립예술기관의 공공성 또한 지켜져야 한다.

지난 1월 17일, 신선희 씨는 국립극장장 취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고 한다. 이 날 신선희 극장장은, 극장장 선임과정에서 불거진 문제들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문화연대와 민예총의 성명서 내용을 언급하며 “수십 년 동안 쌓아온 업적을 한꺼번에 허무는 명예훼손에 가까운 것(1/18, 한겨레)”이고 “정치적 안배 주장은 설득력 없는 억측(1/17, 연합)”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명예훼손 운운하는 이러한 주장은 성명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우리는 신선희 씨가 개별 예술가로서 수십 년 동안 행해 온 활동이나 취향에 대해 왈가왈부한 것이 아니다. 공공기금과 국고를 지원받는 서울예술단 단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문화예술계 및 언론, 국정감사 등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근거로 국립극장장에 적합하지 않음을 지적한 것이었다.

또한 국립극장장으로서의 역량에 대해서는 응모과정에서 문화부에 제출한 ‘직무수행계획서’에 의해서 검증받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심사회의록을 근거로 할 때 7사람의 직무수행계획서(각자 A4 용지 10매 이내)와 기타 자기소개서들을 30분 동안에 검토하였다고 한다. 서류심사가 제대로 되었는가도 의심스럽지만 이러한 심사과정은 결국 심사위원 개개인의 취향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심사위원 중에는 불과 몇 개월 전에 서울예술단에서 신선희단장과 함께 창작작업을 하였던 인사가 2사람이나 포함되어 있는가하면 심지어는 친일연극인으로 지목된 아버지의 후광으로 현재의 지위에 오른 것이 분명한 인사도 포함되어 있다.

문화부는 친일잔재와 과거사 청산이라는 현 정부의 공공적 과제에 대해서 스스로 역행하고자 함인가?
아니면, 그와 같은 심사위원 구성이 된 것은 우연의 일치였을 뿐 그런 관계가 있었는 줄은 몰랐다고 할 것인가? 그렇다면 그 무지와 무능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책임운영기관의 장에 대한 공모제를 시행하면서 공모제의 취지를 오히려 사장시켜버린 문화행정의 파행이 이번 사태의 본질이다. 문화부가 극장장 선임을 놓고 한 달 동안이나 눈치보기를 하고 있을 때, 문화예술계 한 켠에서는 공모제 무용론까지 등장하는 요지경이 연출됐으며, 심지어 문화부 관계자마저도 공모제가 예술가에게 맞지 않는다는 인터뷰를 하는 상식 밖의 일이 벌어졌다. 문화부는 공모제 자체를 우습게 만들어버린 자신들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번 사태에 대한 적극적인 해명을 해야 했다. “신원조회와 관계기관 검증”이라는 의례적인 답변만으로 회피하려 한다면 ‘정략적 안배에 의한 선임 의혹’은 더욱 증폭될 것이다. 공모제 파행에 대해 문화부와 그 장은 분명하게 책임을 져야 한다.

2006년 1월 24일(화)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웹사이트: http://www.kpaf.org

연락처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정책기획팀 안태호 활동가 02-739-6851, 017-736-6350,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