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방산업체 대상 맞춤형 보안지원 추진
기무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방산기밀 유출을 차단하고 방산업체의 자율적인 보안업무 수행 체제를 정착시키기 위해 방산업체 및 무역대리점 등에 대한 보안감사, 보안점검, 보안교육, 보안측정 등 다각적인 보안 지원 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방산스파이들의 방산업체에 대한 유ㆍ무선 도청을 통한 방산기밀 수집 및 기술 유출 차단을 위해 회의실, 연구소 등 주요 시설에 대한 ‘對도청 탐지’ 서비스도 적극 전개할 방침이다.
기무사령부는 지난 2월 7일 (주)한화를 시작으로 오는 10월 25일까지 28개 업체 62개 사업장에 대한 방산업체 중앙 보안감사를 개시하였다.
올해 보안감사는 ① 핵심 방산기술 유출방지를 위한 보안대책 강구실태 ② 업체 보안태세 확립을 위한 경영층의 보안 관심도 ③ 핵심 시설에 대한 보안·침투 방지대책 수립여부 ④ 정보통신 발전추세에 부합한 보안대책 수립 실태 등에 중점을 두고 실시 할 예정이다.
기무사는 효율적인 보안감사를 위해 지난해 12월 업체별 특성에 맞는 보안감사 중점을 미리 감사 대상 업체에 통보하여 업체 스스로 자체 보안활동 계획을 수립하도록 함으로써 감사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한 가운데 회사별 특성에 맞는 보안업무 개선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아울러, 올해 보안감사에서 제외된 업체에 대해서는 정기/수시 보안점검을 통해 軍관련 방산기술 유출 여부를 집중 진단하여 확인된 취약점을 적시에 보완토록 지원해 나갈 방침이며,
방산 업체의 자율적 보안업무수행 체계를 정착시키기 위해 서울 등 11개 지역별 방산업체 보안관계자들로 구성된 보안협의회 및 전국단위「방산보안중앙협의회」등을 통해 첨단 방산기술 보호 및 보안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기무사 관계자는 “첨단 방산기술 유출이 국가안보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함은 물론 업체의 생존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방산기술 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이라며,
“기무사는 앞으로도 창의적인 보안감사·점검, 방산업체 보안실무자 소집교육 등을 통해 맞춤형 보안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한편, 업체의 자율적인 보안업무수행 체계 정착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무사령부는 지난 해 ‘국민과 군으로부터 신뢰받는 선진 군 정보수사기관 건설’을 목표로 부대의 임무와 기능을 재정립하고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등 부대 혁신을 강력하게 추진해 왔으며,
12.1일부로 팀 중심 조직으로 재편성하면서 주변국의 방위산업 기술 및 군사 기밀 탐지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방산보안팀 및 방산스파이 수사 전담팀을 신설하여 전문 인력을 대폭 보강하는 등 방산 기술 및 기밀 보호에 부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dsc.mil.kr
연락처
국군기무사령부 공보관실 02-731-3030~2
-
2007년 12월 17일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