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쌀박람회(RICEXPO 2006)-도라산 ‘평화의 쌀축제 및 쌀은행발기인대회’ 개최
쌀박람회 조직위원회(집행위원장 정민수)는 10일 외국쌀 국내시판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쌀 소비확대책의 일환으로 3월3일(금)~5일(일) 사흘간 경의선 도라산역 일원에서 3차쌀박람회-‘도라산 평화의 쌀축제 및 쌀은행발기인대회’를 개최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정민수 집행위원장은 “경의선 도라산(都羅山)역에서 쌀축제를 개최하는 것은 ”도라산역이 세계적인 평화와 생명의 공간인 DMZ에 근접한 역으로 북한구간을 거쳐 유라시아 대륙철도로 나아가는 발진기지의 상징성”때문이라며 “ 특히 올해는 경의선의 북쪽구간 철도 운행이 기대되므로 쌀축제기간중 참관객들이 행사참여 지자체와 지역RPC로부터 쌀을 구입, 경의선 첫열차에 실어 북한을 비롯한 세계 곳곳의 ’기아와 빈곤의 땅‘ 으로 보내자는 취지”에서 행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정위원장은 “평화(平和)는 말 그대로 사람들의 ‘입(口)’속에 ‘벼(禾, 쌀)’가 충분할 때 실현되는 것“이라며 “‘도라산 쌀축제’는 특히 쌀생산 농가와 쌀을 필요로 하는 사회극빈층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쌀은행‘ 설립을 제안하는 행사”라고 밝혔다.
’쌀은행‘ 은 이번 행사기간중 발기인 만찬(3,4일), 설립설명회(4일)와 발기인대회(5일)를 연이어 열어 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한 다음 5월중에 창립식을 갖는다. ‘쌀은행(RICE BANK)’ 은 고구려의 명재상 을파소가 굶주린 백성들의 구휼을 위해 실시했던 ‘진대법(賑貸法)’을 모델로 한 것 ‘진대법(賑貸法)’은 춘궁기에 국가에서 빈자층에 양곡을 저리로 빌려줬다가 추수때 갚게 하는 구휼제도.
조직위의 ‘쌀은행’ 방안은 쌀을 혈액은행의 헌혈카드 방식으로 운영하자는 제안을 담고 있다. 조직위는 현재 국내에서는 남아도는 쌀처리가 심각한 현안이 되고 있는 반면 한해 결식아동이 20만명에 달할 정도로 쌀이 필요한 극빈층이 존재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판단, ‘쌀은행’에서 마련한 기금으로 남아도는 쌀을 구매해 극빈층에 유상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전개하는 쌀소비 확대 캠페인은 식문화 트렌드의 변화와 국내시장의 한계로 일시적 소비를 늘리는 효과만 있을 뿐 전체 쌀소비량의 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쌀은행’ 발기인 본인이 쌀이 필요한 경우 내놓은만큼 되돌려 받을 수 있고 또 타인에게 양도가능한 헌혈카드 방식의 ‘쌀카드’시스템을 채택하면 쌀소비의 신규수요를 창출하는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 ‘쌀은행’ 에서 사회극빈층에 대한 쌀지원을 규모화하고 북한을 비롯한 아시아 빈곤지역에 대한 쌀지원을 맡게 되면 궁극적인 쌀 소비확대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쌀은행’의 빈곤층 구휼제도는 쌀을 대여한 뒤 ‘쌀은행’이 자활지원사업을 전개, 자립후 떳떳하게 은행에 환곡토록 함으로써 더 이상 ‘사회의 짐’이 아닌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자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쌀은행’을 통한 WTO 수혜부문 기업들의 극빈층에 대한 쌀기부문화 활성화는 궁극적으로 우리쌀 신규소비시장의 창출과 쌀 소비량의 확대로 이어져 WTO 피해부문인 농업분야를 돕는 사회안전망 확보효과도 있다.
조직위는 한국철도공사에서 경의선 북한구간의 조속한 개통에 대한 국민적 염원을 다지고 쌀축제를 통한 우리쌀 소비확대를 돕는 차원에서 ‘쌀축제’ 기간중 참관자 편의를 위해 3일부터 5일까지 매일 4차례에 걸쳐 서울-도라산역간 특별열차를 운행키로 했다고 밝혔다. 경의선 특별열차는 행사 첫날인 3일 오전, 서울역에서 전국 각도의 쌀생산지로부터 모아진 쌀을 싣고 도라산역까지 운송하게 된다. 이 쌀은 행사후 임시로 도라산역의 쌀창고에 비축해 놓았다가 일정목표량이 달성되면 전량을 북한으로 가는 경의선첫 열차에 실어 나르게 된다.
한편 쌀박람회 조직위원회’는 쌀시장 개방에 본격 대비, 우리쌀의 품질력 향상과 쌀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두 차례(2003.11 코엑스, 2004.12 광화문)의 쌀박람회(RICEXPO)를 개최했다. 조직위는 쌀박람회 행사에서 ‘우리쌀지킴이 100만가정모으기’ ‘연말연시 선물로 우리 농산물 구매하기’ 등 우리 농산물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캠페인들을 전개해왔다.
경의선닷컴 개요
경의선, 고구려, 비무장지대와 관련한 문화상품을 개발, 판매
1994년 창립.
웹사이트: http://goguryeo.or.kr
연락처
(02)722-6246~8 쌀박람회 조직위원회 집행위원장 정민수
017-353-0134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