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3월의 독립운동가 동오 신홍식 선생 전시

천안--(뉴스와이어)--독립기념관(관장 金三雄)은 국가보훈처, 광복회와 공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으로 3·1운동을 주도하신 동오(東吾) 신홍식(申洪植) 선생을 2006년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신홍식 선생은 1872년 3월 1일 충청북도 청주군 문의면 문산리에서 아버지 신기우(申驥雨)와 어머니 최살랍(崔撒拉)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젊어서는 뚜렷한 직업 없이 과거시험에 전념하여 생활고에 시달리는 등 불우한 시간을 보냈다. 그러다가 선생은 1904년경 기독교에 입교하여 신앙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것이 선생의 일생에 큰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1906년 충청남도 천원군 직산면 직산교회 전도사로 본격적인 목회활동을 시작한 선생은 1910년에 감리교 계통의 협성신학교에 입학하여 1913년 졸업하였다. 졸업 당시 졸업생 대표로 연설을 하는 등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1913년 집사목사를 안수 받은 후 공주지방 순회목사로 부임하였으며, 1917년에는 평양 남산현교회로 파견되었다. 평양은 일제의 침략에 맞서 싸운 민족적인 기독교 세력이 강한 지역이었다. 이곳에서 선생은 마음속으로 품어왔던 참담한 민족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민족운동가로 변신을 꾀한 것이다.

1919년 2월 중순 경 손정도 목사의 권유로 이승훈 선생을 만나 3·1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서울 모임에서 평안남도 지역의 동지 모집 역할을 담당한 선생은 평양 지역의 목회자들인 아펜젤러기념교회 김찬홍 목사, 이문리교회 주기원 목사, 신양리교회 김홍식 목사와 접촉하여 평양 지역의 시위를 주도적으로 전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역사적 날인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석하여 3·1독립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이 때문에 경성감옥(현,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2년의 수감 생활을 하였다. 재판과정에서 일제의 강제 병탄 반대와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어 일제의 판사들에게 경종을 울렸다.

1921년 11월 4일에 만기 출옥하고, 이듬해에 인천내리교회 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을 재개하였다. 1922년에는『인천내리교회사』를 서술하였고, 1925년 창립된 ‘흥업구락부’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흥업(興業)’은 표면적으로는 산업을 일으킨다는 취지였지만 실제적으로는 조선의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주의 계열의 단체였다. 1930년대에는 흥업구락부 회원 일부와 「기독신보」계열의 개혁적 인물들과 결합하여 ‘적극신앙단’을 결성하고 적극신앙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는 신앙운동을 가장하였지만 독립에 대비할 구성원들을 훈련시켜 실력을 양성한다는 민족운동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큰 뜻을 다 펴지 못한 채 병마에 시달리다 1939년 3월 18일 끝내 운명을 달리하셨다.

이러한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정부에서는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독립기념관에서는 선생의 뜻과 공적을 기리기 위해 별도의 전시실을 마련하고 관련 자료와 사진을 3월 한 달 동안 전시할 계획이다.

신홍식 선생 주요공적 요약
○ 1917~1919 평양 남산현교회 담임목사로 민족운동 전개
○ 1919 민족대표로 3·1운동 독립선언식에 참여
○ 1925~1938 흥업구락부와 적극적인 신앙운동으로 민족의식 고취
○ 1962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독립기념관 개요
독립기념관은 외침을 극복하고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지켜온 우리 민족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 전시, 조사, 연구함으로써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민의 투철한 민족정신을 북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데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국민이 즐겨찾는 나라사랑 정신함양의 중심기관이라는 경영비전을 설정하고 국민에게 친근하고 사랑받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이용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국민이 즐겨찾는 기관, 고객 눈높이에 맞는 핵심사업 활성화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나라사랑 정신함양의 중심기관을 지향하며, 운영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설립근거 : 독립기념관법 제1조)

웹사이트: http://www.i815.or.kr

연락처

기획조정실 홍보팀 양원길 041)560 - 0245 016 - 447 - 3012
FAX : 041)557 - 816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