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성적인 수면 문제, 하지불안증후군(RLS) 의심해 봐야
대한수면연구회는 하지불안증후군의 진단에 필수적인 기준[주2 참고]을 만들고 국내에 표준화된 역학조사를 위한 인터뷰 폼을 만들었다. 이를 사용하여 2006년 2월에 만 21세~69세의 성인 남녀 5000 명을 대상으로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5000명 중 하지불안증후군에 해당되는 사람은 271 명(5.4%)으로 나타났다. 이 중 수면장애(sleep disorder)가 동반된 비율은 약 52.8%였는데 이들은 밤에 잠 들기가 어렵거나 다리 움직임 때문에 잠을 자주 깨고 잠이 깬 후 다시 잠 들기가 어렵다고 호소하는 등 수면 문제를 경험하였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약 5.4%나 되는 환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적절하게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약 16% 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국내에서 많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이 제대로 진단되지 못하고 치료를 방치한 채, 증상과 수면문제로 고생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하지불안증후군으로 추정되는 응답자가 호소하는 다리의 불편함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쑤신다/욱신거린다,” “저리다/피가 안 통한다,” “아프다,” “당긴다,” “시리다” 등의 순으로 많았다.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경험하는가에 대한 설문에는 77.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 충동이 너무 심해서 참을 수 없었다고 응답한 사람도 42%에 달했다.
증상의 발현 시간대는 주로 오후 6시 이후부터 저녁/밤 시간이 가장 많았다. 저녁이나 밤 시간에 증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는 것은 하지불안증후군의 중요한 특징이며 진단시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한편 성별에 따른 유병률은 여성이 5.6%로 남성 5.2% 보다 조금 많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이 질환으로 추정되는 응답자의 비율도 높았는데 특히 50대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증상 발현의 평균 나이는 38.3세였다. 일반적으로 하지불안증후군은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발병할 수 있지만 여성의 비율이 좀더 높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병율,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국내 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271명 중 원발성 하지불안증후군(primary RLS)과 이차성 하지불안증후군(secondary RLS)의 비율은 각각 74.2%와 25.8% 였다. [주1 참고]
이번 연구의 주 연구자인 대한수면연구회의 조용원 교수(계명의대 신경과)는 “하지불안증후군은 심각하고 만성적인 신경질환으로 수면장애의 흔한 원인이며 우리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환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편”이라며 “우리나라에서 이 질환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전혀 이루어져 않고 있던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유럽, 미국 등 서구 국가들의 경우, 적게는 전체 인구의 약 2.5% 에서 많게는 약 15% 정도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비해 지금까지 아시아와 우리나라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역학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대한수면연구회 부회장 홍승봉 교수(성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는 “하지불안증후군은 정확히 진단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며, 철분 부족시 철분 공급,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리큅 등) 및 도파민 제제 등의 약물로 RLS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다리의 이상한 증상으로 매우 불편하나 무슨 병인지 몰라 어떻게 치료 받아야 할지 모르는 환자들을 위해 대국민 질환홍보와 관심이 필요한 상태”라고 강조하였다.
[주1] 하지불안증후군 (Restless Legs Syndrome: RLS)이란?
하지불안증후군 또는 RLS는 다리에서 불편하거나 고통스러운 감각을 느끼면서 자신도 어쩔 수 없이 다리를 움직이려는 강한 충동을 특징으로 하며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처럼 휴식 중일 때 나타나고 특히 저녁이나 밤 시간에 증상이 심해진다. 다리를 움직여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된다. 이는 환자의 수면을 방해하고 낮 시간의 일상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파민 시스템의 이상으로 인한 원발성 하지불안증후군(primary RLS)과 빈혈이나 신부전 등 다른 질환에 의한 이차성 하지불증후군(secondary RLS)의 2가지 유형이 있다.
[주2] 하지불안증후군의 필수 진단 조건 4가지
I.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 대개 다리에 불편하고 불쾌한 감각이 동반한다 (때로는 이상 감각 없이도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나타나고, 다리 부위에 더해서 팔과 다른 신체 부위에도 나타난다).
II.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눕거나 앉아있는 상태, 즉 쉬거나 움직이지 않을 때 시작되거나 심해진다.
III.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걷거나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에 의해, 최소한 운동을 지속하는 한,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모두 완화된다.
IV.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낮 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악화되거나 저녁이나 밤에만 나타난다 (증상들이 매우 심한 경우, 이러한 뚜렷한 경향이 점점 없어지나, 과거에 반드시 이러한 상황이 있어야 한다).
이번 조사는 대한수면연구회(회장: 김주한, 한양의대 신경과)가 실시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 유병율 조사 연구자
- 홍승봉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연구회 부회장)
- 조용원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신경과, 연구회 정보이사)
- 윤창호 (인하의대 인하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회 학술-보험이사)
- 신원철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신경과, 연구회 총무이사)
대한수면연구회는 2002년에 신경과 수면 클리닉 전문의들이 주축이 되어 수면문제 연구를 위해 창립된 전문 의학단체이다. 올 2월에 연구회는 국내에 표준화된 역학조사를 통해 수면장애의 주요 원인인 하지불안증후군의 연구 및 인지도 향상에 본격 나섰다.
앞으로도 건강한 삶과 건강한 수면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질환의 인식을 향상시키고 올바른 치료법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춰나갈 계획이다.
연락처
글락소 스미스클라인 PR팀 양수진 주임 02-709-4220
홍보대행사 KPR 이수경 02-3406-2265 011-1728-4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