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수출 위협요인과 향후 전망
1. 수출 호조세 속에 증가율 둔화
수출은 3/4분기까지 월평균 30% 이상의 호조세 지속
□ 2004년 1~9월 중 월평균 수출 증가율(전년동월대비)은 35.3%로 2003년(전년대비 19.3% 증가)에 이어 수출 호조세가 지속
-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상품이 수출 증가세를 주도해 2004년 2/4분기 이후 월간 수출액이 평균 200억 달러 이상을 기록
ㆍ2004년 1~9월 중 수출 주력품목인 반도체(45.2%), 정보통신기기
(40.5%), 승용자동차(40.5%)의 수출이 크게 증가
ㆍ기계류와 정밀기기의 수출(165.2억 달러)도 같은 기간 42.7%나 증가
- 유가 상승으로 수출단가가 오른 석유제품 수출도 같은 기간 전년동기대비 35% 증가
ㆍ석유화학의 수출단가는 2004년 8월말 현재 톤당 평균 1,217달러로
2003년보다 448달러 상승
□ 주요 교역국 이외에도 중동 및 독립국가연합(CIS)로의 수출이 증가
- 2004년 9월까지 대중국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9.4%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29.2%), 일본(29.4%), EU(40.7%)로의 수출도 호조
ㆍ대중국 수출은 중국정부의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9월까지 전체 수출의 19.6%인 362.9억 달러를 수출
ㆍ對EU 수출은 유로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무선통신기기와 자동차의 수출 이 크게 증가
- 2004년 1~9월 중 對중동 수출은 오일달러에 힘입어 전년대비 31.1%나 늘어난 81.5억 달러를 기록
ㆍ對중동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04.1~9, 16.6억 달러)
ㆍ같은 기간 중 동남아(33.6%) 및 CIS(46.2%)로의 수출도 늘어 수출지역 다변화가 진행 중
□ 2004년 10월(22일) 중 연간수출액이 2,000억 달러를 사상 최초로 달성 했으나, 하반기 이후 수출 증가세 둔화가 우려
- 8월 중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28.8%, 9월은 22.7%로 하락 폭이 점차 확대
- 수출 증가율 둔화가 수출 부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ㆍ8월(198.0억 달러)과 9월(208.9억 달러)의 수출 실적은 2004년 1/4분기 (월평균 수출 증가율 37.8%)의 월평균 수출액 197.6억 달러를 상회
ㆍ일평균 수출액도 8월과 9월에는 각각 8.3억 달러, 10.0억 달러로 2003년의 7억 달러 수준을 크게 상회
□ 그러나 유가 급등에 따른 세계경제의 부진, 원화 절상, 생산성 둔화 및 임금인상 등의 수출 위협요인은 향후 수출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국제유가의 급등세 지속으로 세계경제는 성장률 하락 위험과 인플레이션 압력에 직면
ㆍ2004년 1월 중 배럴당 34.2달러에 거래되었던 WTI油가격은 10월 22
일 현재 사상최고치인 56.42달러를 기록
ㆍ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앨런 그린스펀 의장은 "국제 유가가 현 수준보다 더 급격하게 상승하면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률에 심각하고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강조(2004.10.15)
- 경상수지 흑자 누적에 따른 원화 절상 압력 및 고유가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임금상승 압박은 수출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 작용
ㆍ경상수지는 1998년(403.6억 달러) 이후 지난해까지 6년 연속 흑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8월까지 175억 달러 흑자를 기록
ㆍ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1~9월 중 생활물가는 전년동기대비 4.8%나 상승해, 고유가가 지속되면 2005년의 임금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2. 수출 위협요인이 수출물가와 수출물량에 미치는 효과
고유가의 영향으로 수출물가는 최근 10% 이상 상승
□ 2003년 3/4분기 이후 수출가격이 빠르게 상승해 수출 증가세 확대에 기여
- 수출가격은 세계경제 침체와 IT버블 붕괴 등의 영향으로 2000년 3/4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였으나 2003년 이후 상승세 전환
ㆍ2000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4.7%이었으나 2001년 2.4%로 하락한 후
2002년부터 3% 이상의 성장률을 회복)
ㆍ세계반도체 경기를 나타내는 필라델피아 지수는 2000년 연평균 944.9에서 2002년에는 388.9까지 급락
ㆍ그러나, 2003년 3/4분기 이후 세계경제의 회복과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IT제품을 제외한 공산품과 1차산품의 수출가격이 상승하는 추세
- 수출물가(달러 기준)와 제조업 임금, 원유가격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최근의 수출물가 상승은 유가급등에 따른 것임
ㆍ수출물가 총지수는 국제유가(Dubai油) 10% 상승시 1.3% 증가하는 반면, 달러표시 명목임금 10% 인상은 수출물가를 0.4% 상승시킴
- 수출물가가 유가와 명목임금 등 비용을 반영하는 정도가 매우 낮아 고유가 및 임금인상이 발생할 경우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우려
ㆍDubai油가격은 30달러 중반에서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며,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명목임금의 인상 압박은 점차 가중될 전망
ㆍ또한, 원/달러 환율의 하락은 원화가치 총수출액이 감소해 수출기업의 채산성 저하 요인으로 작용
□ 산업별 수출물가를 분석한 결과, 전산업이 국제유가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1차산품의 경우에는 임금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공산품 중에는 경공업제품이 중화학제품보다 임금상승을 수출물가에 반영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됨
ㆍ임금 10% 인상시 1차산품의 수출물가는 1.6%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금이 빠르게 인상될 경우 경쟁력 약화가 우려
ㆍ공산품 수출물가는 10%의 임금 인상에 대해 경공업제품이 0.1%, IT품목의 0.9%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남
- 유가 급등에 따른 수출물가 상승은 경공업보다는 중화학공업, IT부문에 서 더 크게 나타남
ㆍ유가 10% 인상에 따른 중화학공업과 IT부문의 수출물가는 각각 1.5%,1.7% 상승하는 반면, 경공업은 0.5% 인상에 불과
수출물량의 증가세는 이미 10%대로 하락
□ 2004년 1~9월 중 총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5% 증가했으나, 수출물가를 고려한 물량기준 수출은 23.3% 증가에 그침
- 2004년 중 총수출액은 2/4분기에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수출물량은 1/4분기(31.1%)를 정점으로 큰 폭으로 하락하는 추세
ㆍ1차산품은 상반기 중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가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4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3/4분기에는 3%대 급락
ㆍIT제품의 수출물량의 증가세는 3/4분기에 크게 둔화되었으나, 2002년 이래 20% 이상 증가세를 지속
- 총수출물량은 환율이나 유가보다는 세계시장의 수요와 노동생산성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ㆍ세계시장 수요와 노동생산성이 각각 1% 증가할 때, 수출물량은 각각 0.9%, 0.4% 증가
ㆍ반면, 경쟁국인 일본의 엔화대비 원화환율이 10% 증가하면, 수출물량은 0.1% 증가하며, 국제유가 10% 상승은 수출물량 0.6%의 감소를 초래
□ 산업별 수출물량을 분석한 결과, IT부문이 세계시장 수요 증가와 생산성 향상으로 수출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남
- 1차산품의 수출물량은 세계경기와 유가에 대한 탄력성이 커 향후 세계경제가 둔화되고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수출물량 감소가 우려
ㆍ1차산품 제1수출시장인 일본의 엔화에 대한 원화가치의 하락은 오히려 1차산품의 수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ㆍ이는 분석기간 중 원/엔 환율을 상승했으나, 일본의 장기불황 여파로 1차산품의 수입이 감소했기 때문
- 노동생산성에 대한 수출물량의 탄력성은 IT부문이 0.85로 전산업 평균 0.43의 두 배에 이름
ㆍ이는 세계경기가 둔화되어도 IT부문은 타부문보다 생산성 제고로 수출 물량 확대가 용의함을 의미
ㆍ반면, 경공업제품은 생산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수출규모가 축소되어 -0.26을 기록
3. 전망과 시사점
향후 수출 증가세 10%대로 둔화 예상
□ 우리 수출품의 시장인 세계경제는 이미 2004년 1/4분기를 정점으로 둔화
- 고유가의 여파로 세계경제는 2004년을 정점으로 점차 경기 둔화가 예상
ㆍ미국의 경제 성장률은 2004년 4.3%를 정점으로 2005년에는 3.5%로
하락할 전망(IFM, World Economic Outlook, 2004.9)
ㆍG7국가의 선행경기지수도 2004년 1/4분기 이후 하락세로 전환
- 국제유가는 WTI油기준으로 2004년 10월 22일 현재 배럴당 56.42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하는 등 급증세를 지속
ㆍ우리나라가 수입하는 Dubai油가격 또한 2005년 중에도 30달러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ㆍ향후 10년간 세계석유 소비량은 중국의 경제발전 등의 영향으로 증가할 전망이나 석유공급량은 미국, 중국, 북해의 산유량 감소로 줄어들 전망
□ 계절적 요인으로 고유가가 지속되는 등 수출환경이 어려워질 경우 2004년 4/4분기 수출 증가율 10%대로 급락할 전망
- 4/4분기 평균 국제유가(Dubai油기준) 37달러, 엔/달러환율 109엔, 원/달 러환율 1,140원, 세계시장이 전년동기대비 3.9% 성장할 경우, 4/4분기
ㆍ4/4분기 중 수출물가는 고유가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5.8% 상승
ㆍ같은 기간 수출물량은 고유가와 세계시장의 성장률 둔화('03.3/4: 4.2%
- 2005년에도 고유가 및 세계경제의 둔화, 원화 및 엔화의 절상 등 수출환경 악화로 수출은 2004년대비 10.0% 증가할 전망
ㆍ세계시장 성장률은 2003년(5.3%)대비 3.2%, 연평균 국제유가(Dubai油) 는 35달러, 원/달러환율 1,120원, 원/엔환율은 10.9원을 가정
수출증가세 지속을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이 시급
□ 총수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수출을 주도하는 IT부문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필요
- 우리 기업들이 연구개발과 투자를 지속해온 휴대폰, 반도체, TFT-LCD 등 IT제품은 세계시장을 주도
ㆍ2004년 상반기 중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세계휴대폰 시장의 21.9%를 차지
ㆍTFT-LCD의 세계시장 점유율(2003년 기준)은 31.2%로 일본(40.4%)에 이어 2위를 기록
- 공업제품, 특히 IT부문은 지속적인 수출물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제고로 품질 향상을 통해 높은 증가세를 유지
ㆍ세계경제의 둔화에 따른 수출수요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향상은 수출물량의 증가요인으로 작용
ㆍ따라서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생산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 및 투자확대가 필요
□ 급속한 원화절상은 경공업제품 및 1차산품을 생산·수출하는 기업들의 채산성을 악화시킬 전망
- 고유가 지속과 이로 인한 임금 인상 요구 등이 예상되나, 이들 기업들은 이같은 비용인상 요인을 충분히 수출가격에 전가시키지 못함
ㆍ이러한 상황에서 급속한 원화절상은 채산성 악화를 심화
ㆍ이들 기업에 대한 수출지원금의 확대나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설자금의 지원도 필요
웹사이트: http://www.seri.org
연락처
김옥 대리 02-3780-8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