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2006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 결과

서울--(뉴스와이어)--13일 경총(회장 이수영)이 전국 100인 이상 1,536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발표한「2006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기업들의 신규인력채용 예상규모는 대기업(300인 이상)이 전년대비 5.7% 증가시킬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소기업은 전년대비 12.9% 감소시킬 것(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2.7% 감소)으로 조사되어 채용시장에서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처럼 중소기업의 신규채용이 부진한 이유는 수익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환율 급락과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폭등 등의 불안요인에 대한 적응력도 대기업에 비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별로는 내수경기에 민감한 비제조업(−4.2%)의 신규인력 채용규모 감소가 제조업(−2.2%)보다 크게 나타나, 내수 부진에 따른 서비스업 위축 현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 계획 수립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신규채용을 실시하지 않거나 규모를 축소하겠다고 답변한 기업의 비중이 중소기업 23.3%로 대기업(18.8%)보다 4.5%p, 제조업(23.3%)이 비제조업(19.1%)보다 4.2%p 높게 나타나 중소·제조업 위주로 채용계획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기업들은 올해 신규인력을 ‘신입직’ 72.1%, ‘경력직’ 27.9%의 비율로 채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별로는 76.2%는 ‘정규직 형태’로, 23.8%는 ‘비정규직 형태’로 고용할 것으로 나타나 정규직 채용 비중이 전년(84.7%)대비 8.5%p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정규직 채용 비중 감소는 경기회복 기대감의 하락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편, ‘현재 국회 계류중인 비정규직법안이 통과될 경우, 향후 비정규직 채용 의사’에 대해서는 ‘비정규직 규모에 별 다른 영향이 없을 것’ 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50.5%로 가장 많았으며, ‘비정규직을 줄이겠다’가 21.2%, ‘비정규직을 늘리겠다’는 응답은 4.1%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지나치게 비정규직을 보호한다는 명분에 집착해 노동시장 경직성을 가중시키는 방향으로 법이 통과된다면 기업은 그나마 고용했던 비정규직 일자리조차 줄일 것으로 보인다.

신규인력 채용의 이유로는 ‘결원충원’ 57.4%, ‘신규(설비)투자 증가’ 21.6%, ‘우수인력의 확보’ 1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규인력을 채용하지 않거나 채용규모를 줄이는 이유로는 ‘인건비 압박’, ‘정치·경제의 불확실성’, ‘가동률 저하’, ‘해고의 어려움 등 노동시장 경직성’ 등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해고의 어려움과 같은 노동시장의 경직성으로 인해 신규채용을 기피한다는 응답이 대기업(12.7%)이 중소기업(3.7%)에 비해 9.0%p 높게 나타난 것은, 그만큼 대기업이 강성 노동운동에 의한 해고의 어려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올해 기업의 신규인력 채용 경로는 ‘인터넷을 통한 채용 공고’ 44.5%로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그 외 ‘학교추천’ 23.3%, ‘공공 직업안정기관’ 9.8%, ‘신문·방송’ 7.4%, ‘채용업체 아웃소싱’ 6.9%, ‘지인소개’ 5.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채용 방식은 ‘수시채용’ 67.8%, ‘수시 및 정시채용 병행’ 23.7%, ‘정시채용’ 7.4%의 순으로 나타나, 취업준비자들이 취업을 위해서는 정시채용보다는 수시채용을 노리는 것이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개요
노사간 협력체계의 확립과 기업경영의 합리화, 나아가 합리적인 노사관계의 방향을 정립함으로써 산업평화정착과 경제발전을 도모코자 설립된 민간 경제단체이다.

웹사이트: http://www.kef.or.kr

연락처

류기정 기획홍보본부장 019-204-7003, 3270-7333
김성연 홍보팀장 019-270-1191, 3270-7356
김종국 홍보팀 011-9254-1540, 3270-735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