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분쉬의학상 수상자 발표

서울--(뉴스와이어)--대한의학회(회장: 고윤웅/高潤雄)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 미샤엘 리히터)은 ‘제 14회 분쉬의학상’ 본상 수상자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헌택 교수(鄭憲鐸/ 52세)를 선정했다. 또한 젊은의학자상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분자생물학 교실 김하일 강사(金河一/ 31세, 현 국군의학연구소 연구관으로 군복무중)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강덕희 부교수(姜德熙/ 39세)가 선정됐다.

본상 수상자인 정헌택 교수는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피부 질환 등 자가 면역 질환의 유전학적 특성 면역계 세포 기능의 조절 및 방어능력 면역계 세포에서의 일산화질소 생성 효소의 유도 및 조절에 관한 연구 등의 업적을 인정 받아 이번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정교수는 생체기능 조절분자인HO-1(Hemeoxygenase-1) 및 일산화질소, 일산화탄소와 면역세포들의 기능, 특히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면역 및 염증 질환의 병리 기전을 규명하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 정교수는 국제학술잡지에 154편의 논문을 비롯하여 총 250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잡지에 게재하는 등, 탁월한 학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정교수는 생명과학분야의 연구논문만을 엄선하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2개의 국제전문학술잡지인 Nitric Oxide 및 Antioxidant and Redox Signaling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그 동안의 연구업적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아 세포생물학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부회장과 세포생물학회의 2008년도 세계대회의 조직위원장도 역임 중이다.

젊은의학자상 기초분야 수상자인 김하일 강사는 ‘췌장 β세포에서 PPARg(세포내 수용체/Peroxisomal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g)에 의한 글루코키나제 유전자의 발현조절’ 연구로 그 공로를 인정 받게 되었다. 이 연구는 췌장 베타세포의 혈당인지과정에서 PPARg의 역할 규명을 통해, Thiazolidinedione(제 2형 당뇨병 치료제)계통의 약물이 췌장 베타세포에서 혈당인지 기구의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하여 베타 세포의 혈당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 회복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젊은의학자상 임상분야 수상자로 선정된 이화여대 의대 강덕희 부교수는 ‘성별에 따른 신장질환 진행의 차이: 에스트로겐에 의한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의 조절을 중심으로’ 라는 연구로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 대부분의 신장질환은 혈압, 단백질 섭취량이나 혈중 지질 농도와 무관하게 남성이 여성에 비해 빠르게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이러한 성별에 따른 신장질환 진행 속도의 차이의 정확한 기전은 불분명하다. 이에 강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신장세뇨관의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및 구조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밝혀, 남성이 신장질환에 걸렸을 때 여성보다 더 빨리 악화되는 원인을 설명해주었다.

이번 제 14회 분쉬의학상 시상식은 대한의학회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주최로 11월 25일(목) 오후 6시 신라호텔 다이너스티룸에서 진행된다.

분쉬의학상은 국내 기초 의학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 한국과 독일 양국간의 학문적 친선증진을 위해 대한의학회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이 1990년 4월 공동으로 제정한 상 으로, 구한말 한국에서 활동한 최초의 독일인 의사이자 고종황제의 시의였던 리하르트 분쉬 박사(Dr. Richard Wunsch, 1869-1911)를 기리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분쉬의학상은 대한의학회의 엄격한 심사기준에 의거하여 연구업적이 뛰어난 의학인 1인을 선정, 상금 2천 만원과 상패 및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 2000년부터는 젊은 의학자들의 도전정신을 고취하고 연구에 정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40세 이하의 의사들을 대상으로 “젊은 의학자상”도 신설해 본상과 함께 수여한다.



웹사이트: http://www.bikr.co.kr

연락처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최봉훈 차장 709-015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