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위, 민간부문의 계약·납품 관련 부패행위 처벌 강화

서울--(뉴스와이어)--국가청렴위원회(KICAC·위원장 정성진)는 『계약·납품 관련 부패행위에 대한 처벌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을 마련하여 2006. 4. 12. 건설교통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에 권고하였다.

이번에 민간분야의 계약납품 관련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게 된 것은 전반적인 행정분야의 부패는 상당수준 개선되고 있으나, 민간분야의 부패가 상존하고 있어 전체적인 국가 청렴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납품·건설·의료분야에서 부당한 금품·대가수수 등 음성적인 부패행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처벌기준 불명확, 단속체계 미비 등 부패통제장치가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어 개선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제도개선 권고의 주요내용은

○ 건설관련 뇌물수수 등 위반업체 처벌의 실효성 제고

- 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개정(‘05.11월)으로 영업정지 등 처벌이 강화되었으나, 뇌물수수 업체에 대한 현행 감경기준은 재량의 여지가 많아, 위반업체는 영업정지기간 최소화를 위한 로비 개연성이 높고, 제재완화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

- 영업정지 사유가 발생시에도 제재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어 임의적으로 제재시기를 비수기로 조정하기 위한 로비 소지
⇒·부정한 이익취득 및 공여금지 위반행위를 한 건설업체에 대해 영업정지 처분시 감경기준 적용을 배제하고,
·영업정지 제재시기는 영업정지 행정처분 효력발생 즉시 시행

○ 의료분야 리베이트 수수행위 처벌기준 강화

- 현행 약사법, 의료법에는 의료기관과 약국개설자간 리베이트 행위만 처벌하고, 의약품 제조·판매업자 등이 약국·의료기관과 리베이트 수수행위에 대한 금지규정 및 행정제재 규정 부재
⇒ 의료기관과 의약품 제조·판매업자간 리베이트 수수행위에 대한 처벌규정 및 영업정지 또는 과징금 부과규정을 신설

○ 기업납품 분야 처벌의 실효성 제고

- 기업납품계약 과정에서 리베이트 제공행위가 있을 경우 ‘부당 고객유인’ 행위와 ‘거래상 지위남용’ 행위의 구성요건 중 하나만 적용, 일방당사자만 처벌함으로써 처벌효과가 미흡
⇒ 불공정거래 행위가 ‘부당 고객유인’과 ‘거래상 지위남용’의 구성 요건을 동시에 충족시킬 경우 각각의 구성요건을 적용 양쪽 당사자를 처벌

- 금품·향응·협찬금 제공 등 부패 성격의 사안도 경미한 처분에 그치고 있으며 고발기준도 ‘위반의 정도가 객관적으로 명백하고 중대하여 경쟁질서를 현저히 저해한다고 인정하는 경우’ 등 불명확
⇒ 부패행위적 성격의 불공정행위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고발하는 방향으로 고발기준 구체화

금번 제도개선으로 기업납품·건설·의료분야 등 민간분야의 음성적인 리베이트 관행이 줄어들고,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질서가 형성되어 국가 전체적으로 청렴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웹사이트: http://www.kicac.go.kr

연락처

공보담당관실 02-2126-0023 F.02-2126-031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