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및 판매 채널에 대한 선호도는 다양화 추세, 보험사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부족
구입 경로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모든 보험상품에서 전통채널인 설계사를 통한 가입이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인터넷, 방카슈랑스 등 신판매채널에 대한 선호 경향도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을 통한 보험가입 선호도는 자동차보험(13.0%)뿐만 아니라, 종신보험(12.4%), 건강보험(12.8%), 연금보험(10.2%), 상해보험(8.3%) 등에 고른 분포를 보였다. 특히 종신보험, 건강보험, 연금보험 등에 대한 인터넷 채널 선호도는 2004년 10% 미만의 낮은 수준에서 크게 상승하였다. 반면, 방카슈랑스를 통한 상품 구입은 저축성보험(30.0%), 변액보험(14.4%), 연금보험(11.9%), 통합보험(15.4%) 등에서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나, 과거와 비교해서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영건강보험과 관련해서는 민영의료보험, 장기간병보험, 소득보상보험에 대한 가입의향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장기간병보험에 대한 가입 의향이 높다는 응답은 47.2%, 소득보상보험은 46.9%, 민영의료보험은 32.5%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노후생활에서 가장 불안한 요소로 의료비 등 건강관련 불안이 53.3%로 가장 높게 나타남을 감안할 때, 향후 민영의료보험 및 장기간병보험 등 건강 관련 보험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최근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보험사기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심각성과 그 폐해에 대한 인식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병을 숨기거나 사고발생 이후 보험을 계약하는 행위, 자동차 사고를 기회로 평소 질환을 청구하는 행위, 의사와 결탁한 장해급수 조정 등의 사기행위에 대해서 보험금 지급만 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형사처벌이 필요하다는 의견보다 많았다. 특히, 보험사기의 증가로 인해 자신이 부담하는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51.8%로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어 보험 사기의 근절을 위해서 소비자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통한 인식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kidi.or.kr
연락처
보험개발원 홍보담당 이정환 선임 368-4093
-
2006년 6월 21일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