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문화재초청시리즈9 ‘떼얌(Teyyam):고대 인도의 무속춤’

서울--(뉴스와이어)--세계민족무용연구소(소장 허영일)는 민족무용 연구와 교류 작업의 일환으로 세계의 소중한 무형문화유산을 무대에 올리는 기획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1999년을 시작으로 올해 아홉 번째인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는 이전의 필리핀, 인도, 중국, 방글라데시, 일본의 무용 공연에 이어 인도 남부 지방의 기층무속무용인 떼얌을 초청한다.

‘떼얌(Teyyam;산스크리트어로 ‘신’을 뜻하는 ‘devam'의 변의어)’은 인도 남서부 께랄라(Kerala) 주의 북부권역인 말라바르(Malavar)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기층 무속의식이자 무용양식으로서 떼야땀(Teyyattam), 혹은 칼리야땀(Kali-yattam)이라고도 한다.

떼얌은 지모신, 영웅신, 조상신 등의 토속신격들은 물론 정령, 수목, 동물 등에 대한 애니미즘, 토테미즘적 숭배관념을 포괄하는 고대 인도의 원시 종교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관찰 대상이다. 떼이얏갈란(떼이얌이 되는 사람이란 뜻)이라고 불리는 직능자(職能者)는 주문·노래·춤·분장 등의 단계를 통하여 트랜스(Trance)에 빠지고 신(神)이 내린 상태가 되는데 이 때 그의 자아는 추방되고 마치 신에게 점령 된 듯 주술적인 의식세계로 빠져 들어간다. 그 뒤 떼이얏갈란은 차츰 정신이 들면서 사람들을 축복하거나 예언, 공수를 한다. 춤· 트랜스· 축복· 공수 등 이러한 주술들은 떼얌 의식의 절정의 장면으로 손꼽힌다.

공연 내용

사스따빤(Sastapan)

태고에 성자 두르와사브(Durvasav)의 저주를 받은 천신(Deva)들은 늙고 주름살이 지었다. 후에 젊음을 회복하기 위한 묘책으로서 성자는 천신들에게 항상 젊음을 유지하게 하는 불로의 묘약인 아므리타(Amritha)를 먹을 것을 권하였다. 아므리타를 얻기 위해 천신들은 신성한 우유의 바다(Palazhi)를 휘저었다. 천신들과 악마(Asura)들은 뱀신 바수키(Vasuki)를 밧줄로, 만다라(Mandhara)의 산을 젓대로 사용하여 바다를 휘저었다. 바다 속으로 깊이 들어간 산은 위대한 비쉬누(Vishnu)신의 화신인 거대한 거북(Kurma)의 등에 받쳐져 솟아올랐다. 산이 점점 솟아오르매 비쉬누신의 또 다른 화신인 신조(神鳥) 가루다(Garuda)가 그 정상에 앉았다. 이러한 창세신화를 묘사하는 이 떼얌은 비쉬누신의 위적을 기리고 세상의 모든 중생을 삶의 고난과 질곡에서 구원하기 위해 께랄라 북부의 신당에서 연행된다.

주무: 스미지드 빠니까르(Smijith Panikkar)
악사: 마노즈 빠니까르(Manoj Panikkar), 란지쉬 빠니까르(Ranjeesh Panikkar), 쁘라까샨(Prakashan)

발리(Bali)

뜨레타유가(Tretayuga) 시대에 왕자 라마(Rama)와 락쉬마나(Lakshmana)가 숲속에 은거하고 있을 때 남동생 수그리바(Sugriva)의 영화(榮華)를 질시한 포악한 원숭이 왕 발리는 수그리바를 키슈킨다(Kishkinda) 왕국에서 쫓아냈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 수그리바는 형 발리가 접근할 수 없는 발리께라말라(Balikeramala)에서 은둔하였다. 성자 마탄가(Mathanga)의 은거지 였던 이 곳에 수그리바는 라마와 락쉬마나를 만나 동맹을 맺고 수그리바를 왕위에 복귀시키기 위해 발리를 처단하기로 한다. 수그리바는 발리를 찾아가 결투를 신청하고 양자가 싸우는 중에 라마가 화살을 쏘아 발리를 살해한다. 비쉬누신의 화현인 라마의 화살에 맞은 발리는 구원을 얻는다. <라마야나>(Ramayana)의 일화를 소재로 한 이 떼얌 역시 삶의 고난과 미혹에 시달리는 중생의 구원을 위해 연행된다.

주무: 라지브 뻬루반난(Rajeev Peruvannan)
악사: 마노즈 빠니까르(Manoj Panikkar), 란지쉬 빠니까르(Ranjeesh Panikkar), 쁘라까샨(Prakashan)

o 공 연 명 :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 9 “떼얌(Teyyam) : 고대 인도의 무속춤”
o 일 시 : 2006. 5. 17(수) ~ 18(목) 오후 7시30분
o 장 소 : 국립국악원 예악당
o 공연시간 : 2시간
o 출 연 진
- 음 악 : 마노즈쿠마 카림빌(Manojkumar Karimbil), 란지쉬 쿠마 알루라파람빌 (Ranjeesh Kumar Alullaparambil), 쿨란찰 푸시야푸라일 프라카샨(Kolonchal Puthiyapurayil Prakashan)
- 출 연 : 파얌마 칸디 라지브(Payyammar Kandi Rajeev), 다비다튜 발라빌 스미지드(Thavidattu Valappil Smijith)
o 스 텝 : 산카라 라잔 키제 나리빠타(Sankara Rajan Kizhe Naripatta)
o 주 최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
o 후 원 : 문화관광부, 주한인도대사관
o 공연관람 : 전석 초대(인터넷예매: www. knua.ac.kr -> 예술정보)
o 문 의 처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화(02)520-8137 / 팩스(02)520-8138 / 메일 jungji77@knua.ac.kr
o 워 크 샵 : 2006년 5월 18일 오전 10시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초동 교사)
o 프로그램 : 사스따빤(Sastapan),발리(Bali)


웹사이트: http://www.sicf.or.kr

연락처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 홍보 마케팅팀장 박성희 02-588-7574,7570,7586 011-9987-7832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