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국립가무단 Tumen-Ekh ‘초원의 이야기’

서울--(뉴스와이어)--세계민족무용연구소(소장 허영일)는 민족무용 연구와 교류 작업의 일환으로 세계의 소중한 무형문화유산을 무대에 올리는 기획 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1999년을 시작으로 올해 열한 번째인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는 이전의 필리핀, 인도, 중국, 방글라데시, 일본의 무용 공연에 이어 몽골의 국립가무단의 민속무용을 ‘초원의 이야기’라는 제목 아래 초청한다.

생소한 몽골의 민속무용을 소개함으로써 동양무용의 가치를 발견하며 나아가 세계 민족무용 연구를 통해 우리 민족무용의 위상을 자리매김하는 데 하나의 초석이 될 것이다.

공연 내용(소요시간 1시간~1시간 30분)

1. 궁정축하무용 "Palace ceremony dance" - 군무

궁정축하무용은 몽골고대의 왕과 귀족들이 궁전에서 연회를 벌이며 축하하는 춤으로 연회를 하는 동안 쌍을 이뤄 추는 춤이다. 이춤이 무대화 된지는 80년이 되었다.

2. 사슴에게 "To buck"- 안무 : N.Lamzav, 솔로 D.Bayart

가축은 몽골인의 삶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다. 이춤의 모티브는 ‘말은 몽골 사람에겐 좋은 친구’라는 것인데 목축업자가 말을 훈련시키는데 얼마나 많은 자질과 능력이 있어야 하는지를 엿볼 수 있는 춤이다.

3. 토르구드(Torguud) 민족의 춤 "Mongolian nationality Torguud" - 안무 : D.Nanjid

토르구드(Torguud)민족은 몽골의 북쪽과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다양한 춤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몽골 민족들 사이에서 춤으로 유명하다.

4. 미래의 시간 "Future time" - 안무 : D.Nanjid, 솔리스트 Ch.Sese Erkhuu, D.Enkhgerel

몽골의 민족무용으로 소수민족인 바야드족(Bayad)의 "Bee beeleg"을 보여주는데, 두 노인이 만나 그들의 젊음을 기억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팔과 머리를 밖으로 던지는 동일한 동작을 하는 특성을 가진다.

5. 유쾌한 청년 "Jolly youth" - 안무 : Ts. Sevjid, 전원

긍정적인 성격을 가진 유쾌한 청년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 춤이다.

6. 나의 꿈 "My Dream" - 안무 : D.Nanjid, 솔리스트 T. Sodgerel

몽골 소수 부족 토르구드(Torguud)의 한 아가씨가 그녀의 꿈을 즐기며 전통 악기인 슈그라다(shudraga)의 감정적인 멜로디에 맞춰 추는 춤이다.

7. 원형의 춤 "Dancing of circle" - 안무 : D.Nanjid, 전원

이 춤에서 말하는 원은 몽골어로 게르(ger)라 불리 우는 몽골의 전통적인 주택의 둥근 모양, 몽골인의 민족성인 단일성, 하나의 개체, 하나의 목소리 등을 나타낸다.

8. 쿠리 참 "Khuree tsam" - 안무 : N.Sandagdorj, 전원

고대의 종교적인 가면무용인 참(tsam)은 종교적인 불교 의식무용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알리기 위해서 추어진다. 연극적인 작품으로 숙련된 무용수가 웅장하게 화려한 의상을 입고 서로 다른 신성한 숫자와 악마의 상징, 동물과 사람을 표현한다.

미야알란(Myalan), 샤스다그(Shashdag), 부칸(Bukhan), 자크하르(Jakhar), 쿠리(Khuree)등 다양한 가면무용이 있다. 이번 공연에는 자크하르(Jakhar) 가면무용을 간단히 선보이도록 할 것이다.

몽골 국립가무단 ‘튜멘 - 에흐’ NATIONAL SONG AND DANCE ENSEMBLE OF MONGOLIA 'Tumen - Ekh'

‘Tumen-ekh(튜멘-에흐)' 는 몽골 최고의 국립가무단이며 몽골어로서 '모든 것의 선두 또는 리더'라는 뜻이다. 1989년 저명한 예술가들의 모임에서 유명한 민속노래 ‘튜멘 에흐’의 이름을 따서 함께 활동하다가 지금의 앙상블이 형성되었다.

몽골과 해외에서 유명한 40명의 전문예술가들로 구성되어있으며 정기적인 공연뿐만 아니라 개인지도 및 다양한 기관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15년 동안 ‘튜멘 에흐’는 30개국 이상 방문, 독특하고 매력적이고 화려하고 멋진 문화를 알리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공연만이 아닌, 공연예술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교류와 연구, 트레이닝 그리고 창작활동 등을 활발히 하고 있다.

뉴욕의 월드뮤직센터, 워싱턴D.C 케네디 센터의 밀레니엄 공연장, 영국의 버킹검 궁, 유엔센터 등에서 공연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업적을 지니고 있다.

1994, 프랑스, 국제 페스티발 그랑프리
1997, 일본, 가면무용 콘테스트 동메달
2002, 베스트 앙상블, 몽골 국립 전문 음악인

출연진 소개

몽골 국립가무단 단원 National song and dance ensemble "Tumen-Ekh"
Munkhnasan Dunguu(문크나산 던구 - IOV몽골 대표), Tamir Gansukh(타미르 간수크), Batsaikhan Doyoddorj(바싸이칸 도요도르), Sodgerel Togtookhon(소드제렐 도그두콘), Otgonsuren Tumurbaatar(오트곤슈렌 투머바타), Otgontsetseg Batjargal(오트곤세트세그 바트자갈), Norovbanzad Byambasuren(노로브반자드 뱜바슈센), Seseerkhuu Choijilsuren(세세르쿠 초일슈렌), Bayart Dashyaichil(바야트 다샤이시) )

세계무형문화재 초청시리즈 연혁

① 1999년 9월「노오가쿠」일본 전통무용
② 2000년 6월「쿠티야탐」인도 사원예술
③ 2001년 6월「신화 · 역사 그리고 통과의례의 몸짓」필리핀 민족무용
④ 2002년 6월「모쓰지 엔넨의 춤」일본 불교의식무용
⑤ 2003년 5월「동양 춤 속의 여형」한 · 일 남성에 의한 여성의 춤
⑥ 2004년 5월 「경극, 화려한 그 격정의 미감」
⑦ 2004년 5월 「천상의 무용-방글라데시」
⑧ 2005년 5월 「일본 가부키 무용- 우아함과 격렬함, 그 양면성의 조화」
⑨ 2006년 5월, 「떼얌(Teyyam): 고대 인도의 무속춤」
⑩ 2007년 5월, 「땅과 물, 자연속의 몸짓」캄보디아 왕립무용단

웹사이트: http://www.sicf.or.kr

연락처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 박성희 홍보팀장 02-746-934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