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대논평-이명박 시장은 노들섬 예술센터 건립계획을 철회하라
하지만 노들섬 예술센터 건립계획은 그 시작부터 비민주적인 행정절차로 인해 문제되었던 사업이다. 건립 타당성 조사를 맡긴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연구결과 발표가 채 끝나기도 전에 노들섬 부지매입 예산이 시의회에 올라가고, 더군다나 시정개발연구원에서 진행한 서울시 문화환경에 대한 조사를 통해 서울시에 필요한 공연시설이 대규모 시설이 아닌 500~700석 규모의 공연시설을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사업 결정은 사업의 타당성 자체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게다가 2004년 12월, 서울시 스스로가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대규모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10%에 불과했다. 그리고 50%가 넘는 시민들이 중소규모의 문화시설을 원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서울시는 이러한 서울시민의 여론조차 무시한 채, 그리고 다음 서울시장이 될 후보들이 모두 반대하는 사업을 억지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명박 시장 임기 내내 서울시는 ‘독단적인 쇼맨십 행정’으로 많은 문화와 관련한 사업을 진행해왔고, 이러한 사업 추진으로 인해 많은 부작용이 드러났다. 이러한 독단행정의 문제점이 드러난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양윤재 부시장의 뇌물수수 사건으로 폭발된 청계천 개발사업이라 할 수 있다. 층고제한 해제, 문화재 파괴행위, 청계천 시점부 광장에 들어설 상징조형물 작가 선정과정에서 드러난 문제 등은 ‘이명박표’ 문화행정의 대표적인 피해사례로 언급할 만하다. 즉 이명박 시장의 서울시 문화정책은 규모와 정치적·시각적 효과에만 집착한 나머지 정작 서울에 필요한 문화정책은 펼치지 못하고 있었다. 작은 것부터 실천하는, 그리고 문화예술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시민들을 고려한 문화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세제지원을 포함한 직간접적인 창작 여건의 개선이나 공연예술 창작물에 대한 직접 지원 강화, 그리고 공연예술의 수요를 창출하고 시민들과의 접촉을 확대하기 위한 공공문화기반시설을 활용 방안과 다양한 형태의 문화프로그램을 시행 등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서울시 문화정책의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문화도시란 바로 시민의 삶이 문화적인 도시를 말한다. 개발의 파고를 피한 한강의 마지막 섬 노들섬에 예술센터를 건립하겠다는 계획이 결코 환영받지 못하는 것은 바로 그 속에 ‘서울을 사는 사람들’에 대한 고려나 고민이 없기 때문이다. 근사한 오페라하우스나 세계적인 오케스트라가 있는 도시가 곧 문화도시는 아니다. 언제 어디서나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도시, 시민의 삶이 문화적인 도시를 위한 문화정책의 일대 개혁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리고 그 출발점은 5월 23일로 예정된 착공식을 철회하는 것, 이명박 시장이 아닌 민선4시 서울시장이 서울시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노들섬 예술센터가 아닌 시민친화적인 방식의 문화향유 정책을 만들어 내는 것이 되어야 한다.
2006년 5월 18일
노들섬예술센터건립반대 시민모임
웹사이트: http://www.culturalaction.org
연락처
문화연대 활동가 최준영 (02-773-7707/이메일 보내기 ),
민예총 활동가 안태호 (02-739-6851 / 이메일 보내기 ),
서울시민포럼 간사 김현수(02-392-0318/ 이메일 보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