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예총논평-랜드마크가 아닌 공연예술의 창조성과 시민문화향수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노들섬예술센터는 청소년음악공원과 오페라하우스로 양분된다. 이는 그것을 채울 콘텐츠에서부터 운영방식, 향유계층에 이르기까지 판이하게 다른 공간이라는 점에서 상식을 벗어난 배치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러한 주먹구구식의 졸속추진 과정은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고 있는 세종문화회관의 파행에서 볼 수 있듯이 과연 서울시가 그러한 장밋빛 청사진을 운영할 능력이 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노들섬예술센터가 서울의 공연예술계를 더 풍성하게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아이러니하게 들리겠지만 시설의 증가가 곧 공연예술계의 발전을 담보해 주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시민들의 문화적인 삶을 보장해 주는 것도 아니다. 언뜻보면 중대형 공연장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공연예술계가 활기에 넘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공연장의 기획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해외공연들이 물밀 듯이 들어오고 있는 현실은 국내 공연예술계의 새로운 역량을 심화시키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하드웨어의 비약적인 성장에 비해 공간을 채울 콘텐츠가 부족한 상황, 그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수입공연에 의지해야만 하는 순환구조는 결국 공연계의 창작력에 대한 투자를 외면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거대시설의 과잉공급이 아닌 창의적 콘텐츠 개발을 위한 투자인 것이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의 공연 인프라는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 이미 상당한 양의 하드웨어 구축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역환경과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어 시민들도, 공연계도 공연장이 부족하다고 아쉬움을 느끼고 있는 현실이다.
결국, 문제는 정책의 우선순위를 어디에 두느냐에 있다. 천문학적 예산투여로 화려한 공간을 만들어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는 치적사업을 우선에 둘 것이냐, 시민들에게 다양한 예술참여의 기회를 보장해 주기 위한 생활밀착형 예술공간을 우선시 할 것이냐의 문제인 것이다. 노들섬예술센터 사업이 단지 건물의 문제만이 아닌 서울시의 문화정책의 방향타를 가늠케 한다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서울시는 이제라도 노들섬예술센터 건립 사업을 중단하고 공연예술의 창조성 증진과 시민문화향수를 위한 문화정책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2006년 5월 19일
노들섬예술센터건립반대시민모임
웹사이트: http://www.kpaf.org
연락처
민예총 정책기획팀 안태호 활동가, 02-739-6851, 017-736-6350,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8년 2월 25일 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