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안전지대가 없다... 진주보호관찰소, 마약류 근절을 위한 ‘Drug Zero’프로그램 실시

진주--(뉴스와이어)--10대 청소년을 비롯하여 농민, 어민, 노동자, 주부에 이르기 까지....도시 농촌할 것 없이 마약에 더 이상 안전지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주보호관찰소가 2000. 1. 1. ~ 06. 5. 19.까지 6년 여간 총 332명의 마약사범을 분석한 결과, 마약이 사회 각계각층은 물론 농촌지역으로 까지 확산되었고, 청소년을 비롯한 농민, 학생, 가정주부에 이르기까지 마약으로 인한 파멸의 수렁에 빠질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진주보호관찰소(소장 김상욱)는 마약이 연령과 지역에 관계 없이 사회 깊숙이 확산되는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수요억제를 통한 사회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06. 4. ~ 6월까지 마약사범 46명을 대상으로 ‘예방’, ‘치료’, ‘재활’에 초점을 맞춘 drug zero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① 정기·불시 시약검사(ACUUSIGN 및 Quick Screen Pro Multi Drug Screening Test)를 통한 투약 여부 확인, ② 마약류 피해사례를 교육하는 시청각·정신 교육, ③ 지지와 격려, 중개자 역할 수행을 위한 개별상담, ④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약물중단의지 고양을 위한 가족상담, ⑤ 투약으로 인한 범죄, 구금 등 사회적 압력을 자각, ⑥ 공급자/수요자, 전력 등 유형별 처우관리, ⑦ 건전한 여가활동으로 에너지 발산을 통한 예방활동, ⑧ 잦은 출입 장소에 대한 불시점검, 주거지 불시방문 등 무형의 압력 가중, ⑨ 주거지를이탈하거나 소재불명자에 대한 강력한 추적조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상욱 소장은 “마약이 과거에는 일부 부유층이나 연예인, 접대부들의 전유물로 알고 있었으나 더 이상 특정 계층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사회 각계각층은 물론 도시에서 농촌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하고 “마약사범에 대하여 마약류의 해악을 인식시켜 마약류를 끊어야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하고, 강제적 처벌위주의 교정보다는 심리적, 정신적 치료를 선행한 재범방지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라며 기획의도를 밝혔다.

마약사범의 특징으로는 ‘심리적 나약함이나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정체성 상실, 공허감, 향락 추구에서 발생하는 자기 파괴적 범죄이면서 동시에 피해자 없는 범죄자’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독 상태에 이르게 되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가정의 파멸과 사회적 문제로 범죄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약물 중독 상태에서 타인의 생명 및 신체에도 위해를 가할 우려를 안고 있다.

진주보호관찰소에서 마약사범으로 보호관찰을 이행한 332명(00. 1. 1. ~ 06. 5. 19.)에 대해 심층 분석한 결과, 여자는 38명(11.4%)이었다. 보호관찰 기간 중에 재범자는 17명(5.12%)이었고 이 중 동종 마약류 재범자는 11명(3.3%)이다.

도시나 농촌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지역별로는 진주시 157명(47.3%), 통영시 39명(11.7%), 사천 33명(9.9%), 거제 28명(8.4%), 하동 16명(4.8%), 남해 10명(3.0%), 고성 9명(2.7%), 산청 9명(2.7%), 거창 7명(2.1%), 함양 4명(1.2%), 합천 3명(0.9%), 기타 7명이다.

마약사범의 연령대와 상관 없이 분포한다. 연령별로는 30대 129(38.9%) > 20대 97명(29.2%) > 40대 63명(20%) > 10대 33명(10%) > 50대 8명(2.4%) > 60대 2명(0.6%) 순이다.

학력과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155(46.7%) > 중졸 이하 85명(25.63%) > 초졸 이하 25명(7.5%) = 2년대 졸업 이하 25명(7.5%) > 4년대 졸업 이하 16명(4.8%) > 무학 5명(1.5%), 기타 21명이다.

가정주부, 농어민, 단순노무자 등 직업에 상관 없이 사회저변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인다. 직업별로는, 무직 103명(31%) > 서비스 91명(27.4%) > 기능공 23명(6.9%) > 사무직 21명(6.3%) > 농어업 18명(5.4%) > 단순노무 16명(4.8%) > 학생 14명(4.2%) > 판매 10명(3.0%) > 주부 6명(1.8%) > 전문직 4명(1.2%), 사업 3명(0.9%), 기타(23)이다.

진주보호관찰소는 서부경남 11개 시군의 1,200명의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하여 보호관찰, 사회봉사명령, 수강명령 집행은 물론 재범방지를 위한 각종 인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진주보호관찰소 개요
보호관찰제도는 형(刑)을 선고받은 사람에 대하여 교도소나 소년원 등에 수용하는 대신 일정한 준수사항을 지킬 것을 조건으로 자유로운 사회생활을 허용하면서 보호관찰관이 지도감독을 하거나 일정시간 무보수 봉사활동을 하게 하는 사회봉사명령, 약물남용치료·교통사범 준법교육 등을 받게 하는 수강명령을 통해 교화·선도하는 최신 형사정책 수단을 집행하고 재범방지를 위한 각종 인성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웹사이트: http://jinju.probation.go.kr

연락처

진주보호관찰소 보호관찰책임관 임춘덕 055-759-3053~5,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