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독도 생태계 4계절 정밀조사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는 지난해 4월부터 금년 2월까지 4계절에 걸친 독도 자연생태계 정밀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독도 자연생태계 정밀조사는 지난해 3월 독도입도 규제완화 조치와 더불어 생태계 보전 차원에서 시작되었으며, 국립환경과학원의 생태조사단과 외부전문가 등 21명이 참여하여 조류, 곤충, 포유류, 식물상 등 9개 분야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독도에는 107종의 조류와 49종의 식물, 93종의 곤충 등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류의 경우 금번 조사에서 검은댕기해오라기, 중대백로 등 26종이 추가로 관찰되어 독도내 서식하는 조류는 전체 107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 멸종위기종은 매(I급), 벌매, 솔개, 뿔쇠오리, 올빼미, 물수리, 고니, 흑두루미(이상 II급) 등 8종
- 개체수가 가장 많은 조류는 괭이갈매기(약 10,000여 개체)와 바다제비(600개체), 슴새(50개체) 순

식물은 울릉도 특산식물인 섬장대를 포함, 도깨비쇠고비 등 49종이 관찰되었는데, 독도의 지형 및 기상조건이 식물생육에 적합하지는 않은 관계로 육상에 비하여는 다양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행초는 울릉도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독도에서만 발견되어 독도의 식물정착이 울릉도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시사한다. 식물종 49종중 19종이 독도 자생종이 아닌 외부유입종 또는 식재종으로 밝혀짐에 따라 외부유입종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가, 독도를 대상으로 환경부가 수행한 최초의 4계절 자연환경 정밀조사인 관계로, 과거시점과의 비교를 통한 변화추이 분석은 어려우나, 향후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정밀조사를 통해 독도 생태계의 변화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적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환경부는 향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을 연1회에서 2회로 늘리고, 매 5년마다 4계절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생태계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동시에, 외부유입종이 독도 고유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조사·관찰하고 문화재청 등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대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자연보전국 자연정책과 과장 임채환 02-2110-67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