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대, “경기문화재단의 경기민언련 지원철회입장을 비판한다”

서울--(뉴스와이어)--최근 경기문화재단은 경기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이하 경기민언련)이 주최하는 ‘제4회 언론문화교실’에 대해 지원하기로 했던 당초 방침을 바꿔 지원 불가 입장을 통보해와 논란을 빚고 있다. 논란의 개요를 보면 경기민언련이 애초 사업 계획과는 다르게 강정구씨를 강사로 초청할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이에 대해 우리는 경기문화재단의 지원계획 철회는 표현의 자유 침해라 보고 이를 강력하게 비판하며, 경기민언련 그리고 이번 사건을 비판하며 경기문화재단의 후원을 거부한 수원인권영화제를 지지한다.

먼저 경기문화재단은 “지원사업변경신청 내용이 당초 사업취지와 어긋나기 때문”이라고 변경 사유에 대해 설명했지만 경기민언련이 성명을 통해 지적했듯 이는 여타 언론특강의 경우, 강사섭외 과정에서 강사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의 내용 또한 달라질 수 있지만 특정인 출연을 이유로 이러한 현장의 사정을 고의적으로 무시한 가위질에 해당한다. 경기문화재단은 지원 불가 입장에 대한 구체 이유로 애초 사업계획에는 “영상미디어(TV, 영화)를 중심으로 이해력을 높이는 사업이었으나, 변경된 내용은 언론비평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영화부분도 영화내적 사안이 아닌, 영화를 둘러싼 시사적인 문제로 당초 취지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우”며 따라서 “승인을 불허한다”고 밝혔지만 이는 영화와 시사를 애써 구분하는 말장난에 가깝다.

경기민언련은 경기문화재단의 이와 같은 입장이 경기문화재단 건물을 임대하는 경기조선일보의 압력에 따른 것으로 풀이하고 있는데 이들 단체 활동에 대한 조선일보의 폭력행위가 되풀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을 보면 민간단체들의 정치적 입장과 공공기금을 통한 지원사업은 별개이지만 경기문화재단은 지원사업 중단 결정을 통해 경기조선일보의 문제제기를 사전에 방지하려고 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기문화재단의 입장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이며, 정치적 소수자의 발언권을 보장하지 않는 패거리문화의 표현으로서 문화적 공공기관의 임무를 저버린 처사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경기문화재단의 경기민언련 지원불가 사건은 경기문화재단이 전국 공공문화기관 중 그나마 진일보한 평가를 받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여전히 정치적으로 보수적 관계에 좌우되고 있음을 반증한다. 비단 이번 사건만이 아닌 문화재단, 문화예술위원회 등 공공문화기관의 비민주성과 보수성은 한국사회의 가장 고질적인 병폐로 지적돼 왔다. 특히 최근에는 강서미디어센터, 부천판타스틱영화제, 강릉씨네마테끄 등 변화된 문화환경에 기초해 자율적인 문화행위와 시민운동을 벌이는 미디어 현장에서 이러한 비민주적 행정관행이 보다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이 보수적 권력관계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경기문화재단 등 지역 공공문화기관의 보수적이며 자의적인 문화행정을 비판하고, 지역 주민, 문화예술인, 민간단체들을 위한 공공적이며, 민주적인 기관으로 거듭나길 촉구한다.

2006. 6. 12 문화연대

웹사이트: http://www.culturalaction.org

연락처

사무처 02-773-770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