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2개 사업장에서 발암물질 등 화학물질 51,021톤이 대기, 하천 등으로 배출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는 연간 1~10톤 이상의 화학물질을 취급(제조 또는 사용)한 종업원 30인 이상 2,89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04년의 화학물질 배출실태를 조사한 결과, 218종 1억 13,188천톤의 화학물질이 취급되었고 이 가운데 202종 51,021톤(취급량의 0.045%)이 환경으로 배출되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사업장을 전년도의 1,384개보다 2배 이상 확대함에 따라 취급량은 '03년의 96,392천톤보다 17.4%, 배출량은 38,041톤에서 34.1%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 것이다.

※ 업종 : 28개 → 36개, 사업장 규모 : 50인 → 30인, 취급량 : 50톤 → 1~10톤, 화학물질 : 240종 → 388종 ⇒ 조사사업장 : 1,384개 → 2,892개소

물질별로는 자일렌(17.9%), 톨루엔(17.8%), 메틸알콜(15.0%), 메틸에틸케톤(8.1%) 등 유독물이면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주로 배출되었고, 업종별로는 화합물 및 화학제품제조업(22.2%), 기타 운송장비제조업(11.8%), 고무 및 플라스틱제조업(10.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제조업(9.2%) 등에서 많이 배출되었다.

또한 화학물질의 대부분(99.6%, 50,841톤)이 대기로 배출되었고 179톤이 수계로, 나머지 0.3톤은 토양으로 배출됨에 따라 대기 중 화학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경기(18.5%), 대구(13.3%), 울산(13.2%) 등이 배출량이 많았다.

벤젠, 염화비닐, 산화에틸렌 등 발암물질은 7종 911톤(전체 배출량의 1.8%)이 배출되었는데, 85.5%가 화합물 및 화학제품제조업(53.3%)과 석유정제품제조업(32.2%)에서, 그리고 울산(49.0%)과 전남(26.3%) 지역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4,4'-비스페놀에이 등 13종의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0.28%인 145톤이다.

환경부는 화학물질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이기 위해 '04년 12월, 화학물질 배출을 줄이자는 자발적협약을 시민단체, 관련협회, SK·LG화학·POSCO 등 17개 사업장과 체결하였고, '05년 5월과 6월에는 7개 유역·지방환경청과 서울시, 울산시 등 14개 광역지자체, 한강지키기운동본부, 부산환경운동연합 등 11개 시민단체가 참여하여 동양제철화학, 이수화학 등 148개 사업장과 추가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협약(30/50프로그램) : 협약사업장이 선정한 배출저감물질을 '01년 배출량 기준, '07년까지 30%, '09년까지 50% 줄이기로 함

실제로 협약사업장에서 누출오염원 관리시스템, VOCs 방지시설 등의 배출저감 기술을 통해 배출량을 상당 수준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앞으로 환경부는 배출저감 기술 및 정보 교류를 촉진하고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해서 그 결과를 협약사업장 외 배출량조사 사업장 및 중·소협력업체 등으로 전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협약사업장의 취급량 대비 배출량 : 0.018

또한, 발암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202종에 달하는 유해화학물질의 99.6%가 대기로 배출되고 있어 대기유해물질 관리체계에 대한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유해성 및 노출도가 큰 화학물질은 특정대기유해물질 지정 및배출허용기준 설정에 활용되도록 하고, 밸브, 플랜지 등에서 비의도적으로 새어나오는 화학물질은 기술적으로 오염방지가 가능한 배출원 위주로 공정·시설관리기준 등의 도입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 유해화학물질 중 대기오염방지시설이 아닌 밸브, 플랜지 등의 누출오염원에서 전체의 47.5%가 배출

아울러, 환경부는 '08년부터 개별 사업장의 배출량 공개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각 사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배출량 저감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업종별 특성에 맞는 배출량 산정기법 교육, 공정특성에 적합한 배출원 관리지침 개발 등 체계적인 지원책을 강구해 나가는 한편, 배출실태에 대한 현지실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환경정책실 화학물질안전과 유제철 과 장 02-2110-79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