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생활체육협의회 회장 선출과 관련한 문화연대 입장

서울--(뉴스와이어)--국민생활체육협의회(이하 국체협) 회장 선출을 둘러싼 논란이 점점 혼탁해지고 있다. 소위 ‘정치적 중립’ 규정을 둘러싼 문화관광부(이하 문화부)와 국체협의 진실게임에 이어 국체협 사무처장단이 물리적 실력 행사를 선언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국체협은 예산의 93%가 정부지원으로 채워지는 공공기관이며, 날로 높아지는 생활체육에 대한 관심을 정책적으로, 프로그램으로 실현해야하는 막중한 책임을 갖고 있는 행정 단위이다. 그러나 지금 국체협 회장 선출을 두고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태들은 국체협의 존재이유가 무엇인지를 의심케만든다.

국체협의 사태는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그릇된 ‘인사’ 관행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간 문화부는 자리를 이용한 자기 사람 챙기기를 당연시해왔다. 특히 체육계에 떨어졌던 낙하산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이번 국체협 사태의 시작은 바로 여기서 출발한다. 문화부에게 원천적인 책임이 있다. 뒤늦게나마 문화부가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바람직하나 그 진위가 무엇인지 의심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등록회원 300만에 이르는 전국조직을 우리가 갖지 못할 바에는 남에게도 넘기지 말자는 얄팍한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문화부는 분명한 입장과 아울러 앞으로의 다짐을 표명해야 할 것이다.

국체협 사태는 또한 우리사회의 정치인들이 어떠한 족속들인가를 다시 한 번 확인케한다. 국체협의 사회적 공공성과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과는 상관없이 절차에 문제가 없으니 무조건 해야겠다는 한나라당 이강두 의원을 보며 사회를 정파의 이해관계로 바라보는 몰염치한 정치의 전형을 본다. 또한 평소 체육단체 운영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강조해온 열린우리당 안민석 의원이 한나라당 의원이 신청한다면 자신도 해야겠다는 어이없는 태도를 보였던 점도 곱씹어봐야 할 것이다.

거듭 강조하건데 더 이상 국체협 회장을 선출하는데 정치적 이해관계가 작동하거나 ‘나 아니면 너도 안된다’는 막가파식 결정이 난무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체육기구가 정치권 인사의 경력 만들기에 이용되는 것에 단호히 반대한다. 차기 국체협 회장은 생활 체육에 대한 전문성과 함께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한체육회와의 통합 문제에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인력이어야 한다. 또한 체육계와 정치권의 부적절한 공생을 근절할 수 있는 소신있는 인사여야 한다. 자리에 연연하는 소모적, 정치적 논쟁을 치워버리고 국체협 회장 선출이 생활체육의 활성화와 체육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모두의 반성을 촉구한다.

2006. 7. 18 문 화 연 대

웹사이트: http://www.culturalaction.org

연락처

사무처 02-773-770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