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아르바이트 서비스 뜬다
이는 최근 프리터족, 투잡족, 주 5일제 등으로 아르바이트 시장이 확대된 가운데,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고자 하는 구직자들의 요구가 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맞춤형 아르바이트 매칭 전문업체가 등장하는가 하면 기존 아르바이트 사이트들도 구직자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초단기 아르바이트 인력제공 전문기업 잡크래커(www.jobcracker.co.kr)는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려는 구직자들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전문적으로 연결해주는 회사다.
잡크래커는 구직자가 희망하는 일의 종류와 시간대를 직접 등록한 인력풀을 상시적으로 관리, 운영하면서 긴급히 아르바이트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 인재를 신속히 보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회사를 이용하면 구직자는 본인에게 맞는 구인정보를 찾느라 헤멜 필요없이 최소 4시간 이상의 희망 근로시간과 스케줄을 등록해 놓는 것만으로 아르바이트를 찾을 수 있다.
잡크래커에서는 구인 의뢰를 받는 즉시, 채용 조건에 부합하는 구직 회원들을 대상으로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실시간 구인정보를 제공한다.
구직자가 일자리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전화, 온라인 상으로 회원 등록 후 소정의 상담과 기본교육을 이수하고 스텝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거치면 된다.
인쿠르트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사이트 알바팅(www.albating.com)에서도 아르바이트 이력서를 등록만 해두면 이력서 조건과 맞는 맞춤형 아르바이트 정보를 홈페이지는 물론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하루에 10건까지 받아볼 수 있다.
이력서에는 희망하는 일의 종류와 지역을 각각 3지망까지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급여 수준, 근무 요일, 근무 시간 등의 희망조건도 선택할 수 있다.
또 구인업체를 방문한 채용코디(영업관리자)의 PDA를 통해 등록된 구인광고는 등록과 동시에 구직자들에게 문자메시지로 실시간 전달되므로 구직자들은 최신 아르바이트 정보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다.
잡코리아에서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사이트 알바몬(www.albamon.com)에서도 아르바이트 이력서를 통해 희망직종과 희망지역, 근무기간, 특기사항 등을 설정해 놓으면 그에 맞는 맞춤형 아르바이트 구인 정보를 홈페이지와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직접 받아볼 수 있다.
특히 알바몬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아르바이트 정보들을 2개씩 선택해 한 화면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있어 구직자가 일자리를 비교, 선택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검색 포털사이트에서도 맞춤형 아르바이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야후코리아(kr.yahoo.com)의 지역검색 서비스 ‘거기’에서는 세분화된 장소명과 업종에 따른 아르바이트 검색이 한번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강남역 근처 편의점 알바’, ‘청계천 근처 레스토랑 알바’ 등의 문구로 검색을 하면 개인의 관심 지역 근처의 아르바이트 모집 업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잡크래커의 고대우 본부장은 “아르바이트 시장의 확대로 구인정보의 양이 급증하자 이를 취사 선택하는 것은 구직자들의 고민거리가 되었다”며 “아르바이트 업체들은 구직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자사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맞춤형 아르바이트 정보 제공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jobcracker.co.kr
연락처
잡크래커 남혜영 02-538-8239 018-332-5370
Lee&H Communications 장경선 대리 02-776-2540 010-8560-2345
-
2006년 9월 10일 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