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유전자전달 로봇 국내 연구진 첫 개발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전문기업 디지털바이오테크놀러지(대표 장준근 이하 DBT)는 96개의 대용량 유전자 샘플 처리가 가능한 초고속 유전자 전달 로봇시스템을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그동안 DNA 및 RNA 등의 유전자는 생체세포내까지 전달이 어려워 우리 몸에 유해한 바이러스나 리포솜과 같은 전달체를 이용해왔다.
이 방법은 유전자 전달 효율이 낮고 약효분석, 유전자 기능분석 등 신약개발연구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DBT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한 초고속 유전자전달로봇시스템은 96개의 대용량 유전자 샘플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해 기존 유전자 삽입방식을 대체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마이크로포레이터 HT(High - Throughput)로 명명된 이 기기는 나노기술과 로봇기술이 융합된 첨단 시스템으로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신속하게 세포내 유전자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DBT 정연철 박사는 “신약개발 및 세포치료 분야에서 기존 방법들이 갖는 낮은 효율성과 안정성, 느린 속도의 과제를 해결했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현재 이 시스템은 출시와 동시에 한국화학연구원 신약개발 연구팀에서 도입, 성능 및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장준근 대표는 “이미 독일, 영국 등 유럽 시장과 미국, 캐나다 등 미주시장, 일본 등 아시아 시장에서 선구매가 일어나고 있다”며 “수조원대에 이르는 나노 관련 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나노 선두기업으로 우뚝 서겠다”고 설명했다.
또 장대표는 “이 기기의 시장 수요시장만 약 5천억원 규모지만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모품의 꾸준한 Needs가 발생하기 때문에 1회성 판매가 아닌 지속적인 수익 창출 모델이라는 점에서 차세대 매출 효자품목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DBT는 코스닥 상장업체인 퓨쳐시스템(039860)(대표 김광태)과 주식교환을 결의했고 100% 자회사로 편입되는 절차를 진행 중이다.
웹사이트: http://www.digital-bio.com
연락처
DBT 박진형 이사 031-240-0314
IR큐더스 길재식 대리 02)369-8150(122)
이 보도자료는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7년 2월 27일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