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협연합회, 전국 21개지역 수입쌀 반대 캠페인 8월 30일 동시다발로 개최

부천--(뉴스와이어)--수입쌀이 소비자의 식량주권을 위협하고 있다. 한국생협연합회(www.icoop.or.kr)는 8월 30일 전국 21개 지역에서 동시에 소비자캠페인을 개최한다.

이 캠페인에서 소비자들은 최근 잇따라 문제되고 있는 중국쌀 혼입문제, 미국산 쌀 유전자 조작성분 검출등에 소비자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한다. 또한 한미FTA에 소비자의 입장을 담은 성명서, 경과보고를 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들은 “한미FTA를 졸속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는 이번 협상이 소비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일부분야의 희생이 되더라도 추진을 해야 한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그동안의 협상과정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도 없이 진행되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오는 9월 6일 3차협상 진행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내고 있다. 국민의 동의를 받지 못한 한미FTA협상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귀속될 수밖에 없다. 소비자단체들은 결코 한미FTA가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이익을 가져다 주지 못할 것이라 판단하고 이에 반대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지난 8월 18일 미국산 시판용쌀(안남미 계통의 장립종 쌀) 중 일부에서 식용으로 승인받지 못한 유전자 변형물질인 'LLRICE 601'(제초제 저항 박테리아성 DNA 보유)이 검출되었다. 일본 보건성은 19일 미국산 안남미에 대한 금수조치를 즉각 실시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 물질이 인체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 일본의 대응과 너무 상반된다.

이에 대해 한국생협연합회 이정주회장은 “정부의 행정추진에 있어서 주체가 과연 누구인지 묻고 싶다. 소비자들의 안전과 주권행사를 위한 고민은 없고 한미 FTA의 졸속추진과 수입쌀 이 안전하다며 낙관만 하고 있다. 이번 수입쌀의 경우 일본이 금수조치를 결정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전자조작(GMO) 농산물의 안전성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캠페인에서 한미FTA의 실상에 대해 대국민 전단지 홍보를 하고 수입되는 모든 식용쌀과 가공용 쌀에 대해 정부당국이 책임 있는 조치와 투명한 공매 정보공개,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를 강력히 촉구할 예정이다.

한국생협연합회 개요
한국생협연합회는 전국 63개의 지역생협과 4만명의 소비자들이 만들어가는 비영리 소비자단체입니다. 생협이란 이웃과의 협동을 통해서 식품안전, 교육, 육아, 여성, 환경, 농업 등 일상 생활문제에 대해 구성원 스스로 대안을 만드는 운동단체입니다. 또한 생산자와 직거래를 통해 소비자에게 국내산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을 공급함으로써 우리 농업을 지속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한국생협연합회는 어머니의 눈높이로 식품안전기준을 만들어 갑니다.

웹사이트: http://www.icoop.or.kr

연락처

한국생협연합회 홍보팀 김현희팀장 032)663-2295, 018-378-3324,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