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시민연대, ‘야간 비영업장소 에너지낭비 실태조사’결과보도
전체적으로 보면, 총 조사 대상 313개 중 54%인 170개 영업장이 영업시간이 끝난 밤10시부터 새벽까지 간판조명을 대낮처럼 훤히 밝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 비율은 2003년도에 동일시기, 동일지점을 대상으로 조사한 점등비율 76%(483개중, 367개)보다 무려 22% 낮아진 수치로서, 최근의 경기침체와 고유가 등의 시대상황이 다소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 하더라도 백화점의 점등율 82%((17개중 14개), 자동차영업소가 74%(39개중 29개), 은행등 금융기관이 72%(145개중 104개), 관공서가 60%(25개중 15개), 패스트푸드점이 53%(34개중 18개), 이동통신이 49%(53개중 26개)라는 사실은 고유가와 어려운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여전히 에너지낭비가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공서의 점등율이 2003년엔 36%에서 2004년 60%로, 금융기관의 경우 45%에서 82%로 크게 높아진 반면, 패스트푸트점(전년 81%에서 금년 53%)과 이동통신대리점(전년 77%에서 금년 49%)은 60%이상 상대적으로 낮아져 소규모 상가에 비해 공무원과 대기업 종사자들이 에너지절약에 대한 의식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트점과 이동통신 대리점의 경우 각각 매출저하로 에너지절감을 통한 비용절감에 상당히 노력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금번 조사에서 밝혀진바처럼 공공기관을 대표하는 각 구청의 에너지낭비 실태는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지만 구청의 윗물 격이라 할 수 있는 서울시 또한 최근 이러한 에너지낭비 행태에 맞장단을 치고 있다. 에너지시민연대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시가 관리하는 총 21개 한강교량 중 현재까지 경관조명(가로등 제외)이 설치된 13곳의 전력소비량만 보더라도 연간 3백2십만kWh로 매년 전기요금으로 2억7천8백만원을 지불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올해 4개의 경관조명 시설이 추가 완공될 경우, 1백만kWh가 추가되어 연간 3억6천4백만원으로 그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작은 금액이 아니다. 만약 서울시가 시교량의 경관조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기요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시내 저소득층에게 지원할 경우, 무려 연간 2천2백가구의 전기요금을 지원할 수 있으며, 실업대책에 사용할 경우 연간 20명의 창출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강남 지역 (서초, 강남역 일대)의 구청의 점등율이 50%(13곳 중 7곳)의 점등율을 보였고, 강북지역(종로, 명동, 여의도 일대) 구청의 경우 68%(12곳 중 8곳) 의 점등율을 보여 강북지역의 구청이 에너지 낭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은 강남지역이 11곳 중 11곳 100%를, 강북이 7곳 중 3곳 43% 로 강북보다 강남이 2배 이상의 높은 점등율을 보였다.
12시간 이상 밤새 불켜진 구청-노원, 도봉, 금천, 종로, 서대문, 은평구 각 구청별 점등율을 살펴보면, 25개 구청의 평균치 점등율을 상회하는 구청은 11곳으로 44%를 차지하였으며, 하루 12시간이상 점등하고 있는 곳도 6군데(노원구, 도봉구, 금천구, 종로구, 서대문구,은평구)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업종을 보더라도 밤새도록 간판에 불을 밝히는 곳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돈이 아니니까’라는 공공기관의 무책임성을 나무라지 않을 수 없다. 에너지가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화 되고, 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것도 전력자립율이 2.7%에 불과한 서울시가 에너지낭비에 앞장선다는 것은 참으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에너지시민연대 김태호 사무처장은 이러한 이유에서 “시민들은 시장, 구청장에게 에너지 및 혈세낭비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리고 “당장 오늘부터라도 서울시를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은 업무종료 후 건물 내 대기전력 및 옥외간판의 전원을 차단하여 에너지절약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말하였다.
에너지시민연대 개요
에너지 시민연대는 자원고갈 시대에 작게는 에너지 절약 노하우, 낭비등을 조사하고 사회에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에 대해 체크하는 시민단체
웹사이트: http://www.enet.or.kr
연락처
백선필 02-733-2022
-
2009년 8월 19일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