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유휴부동산 367곳, 금액만도 883억원

서울--(뉴스와이어)--우체국 통폐합 등으로 인해 발생한 유휴지와 유휴건물 등 우체국 소유의 유휴부동산이 883억원에 달하며, 실거래가가 공시지가의 3~4배선에서 형성되는 점을 감안하면 그 가치는 수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김태환 의원(한나라당, 구미을)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제출받은 ‘2006년 우정사업본부 유휴국유재산 현황’에 따르면, 우체국 소유의 유휴지는 전국 218곳, 14만평으로 총 공시기자만도 76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휴지와 함께 활용용도가 사라진 유휴건물의 경우 대장가격으로 120억원 상당의 149곳으로 나타나, 총 883억원의 유휴부동산을 우정사업본부가 소유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전남체신청이 84건(▲유휴지-50건, ▲유휴건물-34건, ▲유휴재산-78억원)의 가장 많은 유휴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충청체신청(▲유휴지-34건, ▲유휴건물-25건, ▲유휴재산-26억원)과 서울체신청(▲유휴지-30건, ▲유휴건물-22건, ▲유휴재산-320억원)이 뒤를 이었다.

가장 비싼 유휴재산은 대전에 위치한 충청체신청 소속의 KT연수원부지(140억원)였으며, 서울 구의동우체국 구청사부지(100억원)와 서울중랑우체국 구청사(40억원)가 다음으로 비쌌다.

우체국의 유휴재산은 우체국 통폐합이나 신청사 개축·이전 등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읍·면단위 이하의 경우는 매각이 쉽지 않고, 노후화된 건물도 많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우정사업본부에서는 유휴재산의 활용계획을 세워 유휴지(▲임대-131건, ▲자체활용-27건, ▲비축토지-2건, ▲미활용-58건)와 유휴건물(▲임대-107, ▲자체활용-16, ▲비축토지-1건, ▲미활용-25건)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미활용되고 있는 유휴건물이나 유휴지는 매각계획은 세워졌다고 하나 우범지역이 되기 십상이며, 건물 노후화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도 우려되는 실정이다.

김의원은 “우정사업본부가 소유하고 있는 전체 토지의 12.4%나 되는 유휴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일반국민들의 눈에 부정적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며 “게다가 유휴지와 유휴건물의 관리에 소요되는 재정·인력 낭비와 880억원에 이르는 재산가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의원은 “읍면단위의 유휴지는 매각이 잘 안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매각시 가격을 낮게 책정하거나, 지역민들과 협의한 공간활용등을 통해 정부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웹사이트: http://www.kimtw.co.kr

연락처

김태환의원실 02-788-257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