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차 산업계 대상 REACH 세미나’ 개최
※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of CHemicals) 기존의 화학물질 관리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EU로 들어오는 모든 화학물질(화학물질 사용 완제품 포함)에 대해 산업계가 직접 위해성 정보를 생산하여 등록하는 제도이다(붙임 1: REACH 대응 추진전략 참고)
이에 대비하여 환경부에서는 금년 9월부터『REACH 추진기획단(단장: 환경정책실장)』을 발족하여 본격적으로 대응책 마련을 추진중이다.
단기적으로는 EU에 수출하는 기업들이 새로운 REACH 규제에 원활히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화학물질 위해성관리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하여 대응책을 마련중인데, REACH가 발효되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현재 EU 및 비EU 국가 등의 추진동향을 분석하고 산업계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국가차원의 종합대응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그동안 REACH 추진기획단에서 준비한 사항을 산업계에 알리고, 산업계와 함께 대응방안을 마련해나가기 위해 11.28일(화) 한국과학기술원(KIST)에서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과학기술원과 함께「제1차 산업계 대상 REACH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산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하여 먼저 현재까지의 REACH 추진동향과 EU 및 주요 비EU 국가들의 대응현황을 소개하고, 산업계가 대응해야할 주요 사안별 구체적 대응전략과 추진계획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산업계의 올바른 REACH 제도 이해 및 대응을 돕기 위하여 EU의 산업계 지침서(RIPs: Reach Implemetaion Projects), 질의응답(Q&A) 자료 등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제공하고, 각종 정보제공 및 산업계간 정보교류의 장이 될 REACH 전용 홈페이지〔“REACH 사이버센터”(www.reach.me.go.kr)〕를 선보일 예정인데, 동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상담(cyber-Help Desk)을 실시하고 정보공유 커뮤니티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맞춤식으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한 “도움센터(Help Desk)” 활동계획을 소개하고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도움센터에 전담전문요원을 별도로 배치하여 관계 규정, 지침 등을 전화나 대면상담 등을 상세히 알려줌으로써, 산업계가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도와줄 계획이다.
REACH가 본격적으로 발효되는 ’07년부터는 “REACH 대응센터”를 확대하여 수출물질별 등록대상여부 확인, 등록서류 작성 지원, 대리인·컨소시움 참여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본 세미나를 통해 REACH 제도 시행에 따라 산업계가 실질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요소와 전략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길 기대하며, 산업계의 요구사항(needs)을 파악하여 향후 REACH 대응 종합전략 시행에 반영할 예정이다.
REACH가 발효하는 내년 4월에 맞추어 REACH 도입추진 주무부서인 EU와 공동세미나를 개최하는 한편 대응사례별·주제별 전문세미나를 주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 ’07.4월 초 EU의 화학물질관리국(ECB)와 함께 REACH 도입·시행을 준비중인 JRC(Joint Research Center) 기업 대상 공동세미나를 개최하기로 공식 합의
또한 업종별 산업계 협의체를 구성하여 공동의 대응전략을 구상하고, 정보교류의 장(場)을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환경부는 산업계가 REACH 도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산업계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산업계와 공동의 대응체계를 마련·추진해나갈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환경정책실 환경보건정책과 최민지 사무관 02-2110-6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