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외측 디스크’를 아십니까?

뉴스 제공
박진규병원
2006-11-29 09:02
평택--(뉴스와이어)--최근 들어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극외측 디스크’ 에 부분마취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법을 적용, 좋은 임상결과를 보여 학회에 보고됐다.

‘극외측 디스크’의 수술은 그동안 척추의 가운데로 접근하는 ‘정중부 접근법(median approach)’으로 시행되어 왔는데 이 경우는 수술부위가 넓고 요추와 척추 사이의 척추 후관절이 부분적 혹은 완전하게 손상을 받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경기도 평택의 척추관절전문병원인 박진규병원 연구팀은 고령의 환자에서도 부분마취로 척추의 정중앙을 피해 측면으로 접근하는 ‘정중부 양측을 통한 접선 접근법(paramedian tangential approach)’을 시행해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최근 열린 대한신경외과학회에 발표했다.

‘극외측 디스크’란 디스크가 정중앙이 아닌 측면으로 뛰어나온 경우인데 이미 척추뼈를 빠져나온 상태에서 신경이 눌려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허리, 엉덩이, 다리통증 등 일반적인 ‘디스크’ 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MRI, CT 등 만으로는 진단이 어렵고 ‘디스크 조영술’을 통해서 확진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매우 희귀한 병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들어서는 진단법의 발달로 인해 환자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박진규병원(이용우, 이재학, 박진규) 연구팀은 2004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19명의 환자를 ‘정중부 양측을 통한 접선 접근법’으로 수술을 시행했다. 이중 12명이 극외측 디스크를 가지고 있었고, 7명이 제5번 요추와 제1번 척추 사이의 협착증과 관련된 신경근 포착증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수술 후에 이 환자들을 14.5개월동안 추적조사 평가한 결과 18명이 ‘탁월’ 및 ‘우수’로 분류됐고, 1명만이 ‘보통’으로 평가됐으며, ‘불량’으로 분류된 환자는 없었고 수술 중 발생한 합병증은 없었다고 밝혔다.

박진규원장은 “이 방법은 ‘기존의 수술법인 ‘정중부 접근법’보다 뼈와 근육 등에 손상을 줄일 수 있고, 대부분 부분마취로 시행되기 때문에 고령의 환자도 가능하며 3~5cm의 최소 절개로 수술이 이뤄지기 때문에 환자의 회복기간도 상당기간 단축시킬 수 있는 수술법”이라고 평가했다.

박진규병원(원장 박진규, www.spinepark.co.kr)은 경기도 평택에 위치해 있으며 제1,2,3 신경외과와 정형외과, 외과, 내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등을 갖춘 척추관절전문병원이다.

※‘극외측 디스크’의 정확한 의학용어는 ‘극외측 추간판 탈출증’(far-lateral disc herniation)이다.

극외측 디스크란?
허리 통증은 있는데 원인 잘 모르면 의심해야

허리와 다리에 걸쳐 통증이 있는 ‘디스크’ 증상을 보여 병원을 찿아도 특별한 원인을 모르면 한번쯤 ‘극외측 디스크’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척추디스크’란 병은 척추뼈 사이의 물렁뼈가 뒤쪽 신경 있는 곳으로 밀려나오면서 허리와 엉덩이, 다리쪽으로 통증이 발생되는 경우를 말한다.
척추는 해부학 적으로 신경이 뼈에 의해 둘러 싸여있어서 일정한 공간내에 신경이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뼈와 물렁뼈 사이에 척추신경이 압박되는 것이다.
‘디스크’라는 병이 매우 흔하지만 ‘극외측 디스크’라는 병이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병처럼 들릴 수 있으며 의료계에서도 처음에는 수술환자의 0.5% 정도로 매우 희귀하게 생각했지만 지금은 ‘디스크’ 환자 10명중 1명 꼴로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늘어나고 있는 정확한 이유는 진단기술이 날로 발달되어 진단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대개는 일반적인 ‘디스크’ 진단방법으로는 진단이 잘 안된다. 환자가 느끼는 증상은 일반적인 ‘디스크’와 유사하나 MRI나 CT를 찍어도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진단 방법중 MRI가 가장 정확하다고 하는 데 MRI에서 진단이 되지 않는다 하면 의사나 환자나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극외측 디스크’의 진단은 의외로 간단하다. 제일 먼저 의사의 진찰소견이 가장 중요하다. 만일 ‘극외측 디스크’가 의심이 되면 45도 가량 각도를 틀어서 MRI를 찍고 의심되는 척추마디에 추간판 조영검사를 시행한다.
이런 식으로 진단하기 때문에 초진에서 발견되기가 쉽지 않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증상이 발생되고 약 2-3개월 이후에 길게는 몇 년 후에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병원에서는 MRI까지 찍고 특별한 이상이 없다는 데 환자는 허리와 다리의 통증은 극심하여 죽을 지경이다. 따라서 매 번 신경주사를 맞거나 진통제를 맞으면서 하루하루 고통을 겪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도 간단하다. 부분마취하에서 척추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약 3Cm 가량 절개해서 신경을 풀어주면 그 것으로 치료가 끝이다. .
‘극외측 디스크’란 이미 척추뼈를 빠져나온 상태에서 신경이 눌리는 경우를 말한다. 허리와 엉덩이,혹은 다리에 심한 통증이 있는 데 각종 검사상 별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는 ‘극외측 디스크’ 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spinepark.co.kr

연락처

박진규병원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