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범 환경부장관, ‘제8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참가
<제8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동 회의는 동북아지역 환경 문제에 대한 최고위급 논의의 장으로, 지역내 환경 문제에 공동 대응하고 환경산업 및 기술분야에서의 상호 협력 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1999년 이래 매년 한 차례씩 3국이 교대로 개최해 오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3국이 공동으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동북아 황사 대응,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등 동북아 지역 및 지구 환경 공동 관심사항에 대하여 폭넓은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황사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한·중 황사정보공유 약정, 동북아 황사대응 ADB-GEF 사업 등 현재 진행중인 협력사업의 점검과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해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e-Waste(전기·전자 폐기물) 등에 대하여 각국의 관리 현황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협력 방안을 발굴하며,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하여는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 등에 중점을 둔 청정개발과 기후에 대한 아·태지역 파트너십(한, 중, 일, 미, 호주, 인도 등 아·태지역 6개국 참여) 공조, 제12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참가 결과 등을 중심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3국 환경장관회의 협력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3국 환경장관회의의 역할 증대 방안을 논의하며, 산성비 모니터링 사업, 지방조직 등 환경조직 발전, 환경성과평가 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이번회의에서 ‘서울이니셔티브 정책 포럼’, ‘리더쉽 과정’ 등 ‘서울 이니셔티브’의 후속 조치에 대해 설명·홍보하고, 동 후속 조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적극적 참여를 요청하며, 2008년 경상남도 창원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된 제10차 람사협약 당사국 총회에 대해 그간의 한국측의 준비 과정을 설명하고 동 회의가 성공적으로 유치될 수 있도록 중국, 일본의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3국 환경장관은 회의 종료 직후인 12.3(일) 11:00에 회의 장소인 조어대(釣魚臺) 영빈관(5번 빌라 컨퍼런스홀)에서 국·내외 언론을 대상으로 회의 결과를 종합 발표하는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부대행사(SIDE EVENT)로 3국 환경부 산하 연구기관이 주관하는 황사 국제워크샵이 개최될 예정이며 한·중·일 환경부장관은 동 워크샵에 참석하여 개회사를 발표할 예정이다.
동 국제워크샵은 올해 5월에 열린 한·중·일 환경연구원장회의에서 실시하기로 합의된 것으로, 3국 연구원이 황사 영향 및 저감 방안 등에 대해 논의를 할 예정이다.
<제5차 한·베 환경장관회의>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이후, 이치범 환경부장관은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하여 마이 아이 쯕(Mai Ai Truc) 베트남 자원환경부 장관과 제5차 한-베 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양국간 환경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동 회의는 2000년 8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1차 회의 이후 5번째 개최되는 동남아 국가중의 유일한 양자협력체로서, 양국은 이번 회의에서 그간 한·베 환경협력 추진성과(교육연수, 환경산업 교류 활성화, KOICA 무상원조사업 등)를 평가하고 향후 신규사업의 추진 방안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베트남이 관심을 가지는 폐기물관리 및 오염물질 모니터링 분야 등에 관한 구체적 협력방안을 협의할 것이며, 베트남 도시환경공사가 관할하는 폐기물 매립장인 “난섬 매립장”을 방문하여 베트남 폐기물 처리 현황을 시찰할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환경부 국제협력관실 해외협력담당자 사무관 정명규 02-2110-6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