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영세 의원, “예총, 땅 짚고 헤엄치기 식 사업 그만해야”

서울--(뉴스와이어)--문화예술단체와 젊은 예술인으로 구성된 목동예술인회관 대책위가 오늘(11일) 문화관광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예총의 예술인회관 재착공 계획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히 문화관광부의 미승인에도 시공사를 바꿔 재 착공을 기정사실화한 것에 대한 법률적 검토와 새로 나온 설계도면이 지니고 있는 설계상의 한계가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목동 예술인회관 건립사업에 있어 예총의 정확한 법적 지위는, 정부의 예술인회관 건립사업의 보조 사업자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목동 예술인회관 사업은 예총 자체사업에 대한 국고 지원사업이 아니란 말이다. 그럼에도 예총이 예술인회관을 ‘한국예총회관’이라고 바꿔 부르면서 사유재산화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문제의 해결은 오로지 예총에게 달려있다는 것이 문화예술계를 포함하여 이 문제에 우려를 표하는 대다수 사람들의 의견이다. 특히 예총은 이 사업의 시작부터 기본적인 자기부담을 하나도 지지 않고 있으면서도 소유권을 주장하는 자가당착에 빠져 있다. 우선 목동 예술인회관 부지는 1995년 서울시의 배려로 체비지를 불하받은 것이다. 이에 예총은 1996년 대학로의 예총회관을 시가(80억 상당)보다 훨씬 높은 값(100억 상당)에 문화예술위원회(구 문화예술진흥원)로 넘겨 체비지 비용을 낸다. 현재 예총은 문화예술위원회의 건물에 무상임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예술인회관 건립을 위해 170억의 국고를 지원받고 나서, 예총은 30억 가량을 자체 모금활동을 통해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으나 사업비용이 없다는 이유로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하지만, 무상임대하고 있는 예총회관 건물을 임대하여 연간 3600만원 정도의 임대 수입을 꾸준히 올리고 있었다.

또한 작년 말에 재착공 계획을 밝히면서, 건설회사가 300억 가량의 나머지 공사비용을 선부담하기로 하였다. 2004년 예술인회관 건립사업이 중단되면서 2년 동안 예총이 내놓은 자구노력은 건설사로부터 외상을 빌려오는 것이었던 셈이다.

예총은 예술계의 맏형을 자임해온 단체다. 잦은 정치적 부침에 의해 한계를 보여 왔으나, 그럼에도 민예총과 함께 우리나라의 예술계를 대표하는 단체임에는 틀림없다. 그런데 10년간 예술인회관 사업 하나를 추진하면서, 자체 재원마련을 위한 노력을 하나도 하지 않은 것은 너무나 실망스럽다.

이제 예총이 나서서 수년간 끌고 온 예술인회관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혼자 떠맡기 역부족이라면 당장이라도 보조사업자 지위를 내놓고 광범위한 문화예술단체와 함께 머리를 맞대길 바란다. 이 과정에서 문화관광부 역시 지금까지의 방관자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전체 문화예술인을 위한 예술인회관 건립사업 방향에 대한 고민과 실행력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youngse.net

연락처

천영세의원실 보좌관 서진희 02.784.3143/ 02.788.2874/017.334.757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