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리공단 2007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인천--(뉴스와이어)--사업 1. 환경질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 굴뚝원격감시체계관제센터(CleanSYS) 안정적 운영
◇ 수질원격감시체계(TMS)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정상화
◇ 수도권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지원 시스템 구축
◇ 비점오염원 관리사업 및 생태복원사업 본격 추진

1-1. 환경자동측정망 관리

□ 굴뚝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CleanSYS) 운영
○ 관제센터의 안정적 운영 및 행정기관·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강화

○ 전산·통신 네트웍의 안정적 관리와 최신의 IT기술을 적용한 대형서버 교체등으로 Clean SYS관제센터의 안정적인 운영
○ CleanSYS 웹시스템 확대·보완 및 광역서비스 제공

□ 수질원격감시체계 확대 및 운영체계 정립
○ 수질원격감시체계(TMS) 관제시스템 구축
­ 1종 사업장 및 하·폐수 종말처리시설 등 411개소
○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등 관계법령 및 제도정비
○ 수질자동측정기기 설치 및 정도관리를 위한 지침 수립

□ 수도권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 사업
○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총량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배출량 확정 등 총량관리 및 저녹스버너 설치사업장 기술지원
○ 수도권 지역 내 대기 2·3종 사업장 배출시설 및 배출량 정밀 조사
­ 약 1,555개사 6,880개 굴뚝 대상

□ 대기자동측정망 운영
○ 국가관리 76개 대기자동측정망 목표가동률 93%이상 유지
○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 및 대기오염도실시간공개시스템(AIRKOREA) 안정적인 운영 및 대국민 서비스 확대
○ 종합대기측정소 등 7개소 신규확충
­ 국내 처음으로 산업단지내 광화학측정망 2개소 설치(여천·광양권) 등

□ 수질자동측정망 운영
○ 4대강 수계 45개 자동측정소의 가동률 93% 이상 유지
○ 측정소 4개소 확충(‘08년도까지 56개소)및 노후장비 2개소 교체
○ 측정품질 보증계획 수립, 표준시행절차서 제·개정 등 국제기준에 적합한 선진 정도관리 체계 구축

□ 환경소음 및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구축 시범사업 추진
○ 서울 등 7개 도시에 45개 환경소음 자동측정망 신규 설치
※ ‘06년도 17개 설치 및 시범운영

□ 자동차 환경 사업 추진
○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구축 및 운행차 배출가스의 효율적 관리기반 마련
○ 자동차 배출가스 원격측정장비(RSD)의 성공적 시범운영
○ 개별 수입자동차에 대한 투명하고 신속한 소음인증 시험 실시

1-2. 환경오염 정밀조사 및 개선·정화

□ 비점오염원 관리사업 추진

○ 한강수계 시범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금강·영산강 수계사업 효율적 수행
­ 설치완료부분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신규시설 설치를 통하여 설계 및 유지관리 기준 정립

□ 생태복원 및 토지매수관리시스템 구축사업 확대
○ 낙동강(‘06 완료), 금강(’07완료), 영산강·섬진강(‘07 착수)수계 매수토지의 증가로 관리시스템 방안 마련 필요성 제기
- GIS와 접목된 Web기반의 토지매수관리시스템 구축, 수계별 생태복원 사업 지속적인 확대 수행
⇒ ‘08년도까지 4대강 통합 토지매수관리시스템 구축 완료

□ 토양오염 조사 및 정화
○ 정부정책에 따라 토양오염 조사·정화업무의 철저 수행
­ 국가산업단지 등 토양정밀조사 14개소 및 토양오염도 검사 7,800건 계획
○ 토양·지하수 전문기관으로서의 역량 강화
­ 지하수오염원 조사를 통하여 오염원인 규명 및 정화방안 제시
­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지하수 수질측정망 설치(13개소) 추진 등

□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측정·분석 및 연구사업 추진
○ 다이옥신 측정·분석 373건 및 악취물질 측정·분석 200건 계획
○ 스톡홀름협약 이행 관련 정부정책 용역(8개)사업 수행

사업 2. 공공환경시설에 대한 최적화 지원

◇ 지자체의 상하수도정비기본계획 승인·설치 인가전 기술검토 및 지원으로 국가예산 절감
◇ 체계적인 공사관리·감독으로 최적의 품질 확보
◇ 처리시설 전반에 대한 기술진단 실시로 환경시설의 적정 운영 및 수명연장

2-1. 상·하수도 정책지원

□ 내실있는 정책지원으로 국가예산의 효율적 집행 도모

○ 수도정비기본계획 기술검토 등 상수도정책지원 110건 계획
○ 하수도정비기본계획 기술검토 등 하수도정책지원 180건 계획
○ 하수관거정비계획 수립지원 등 관거정비 기술지원 152건 계획

□ 하수도사업 재정자금 지원이 국고보조금으로 전환됨에 따른 정책집행업무의 효율적 지원 실시

○ 국고보조 하수도사업 기술지원 530건 계획
○ 구 분계~’01년’02년’03년’04년’05년’06년처리장수(개소)439797479827847절감액(억원)5,7462,1106801,518670558210○ 과다용량의 시설계획 적정화 및 단계적 신·증설 방안 제시 등을 통해 국가예산 절감 도모(’00년부터 업무수행)
※ 총사업비(억원) : (당초) 104,999 - (조정) 99,253

□ 상수도분야 등 정부 정책사업 적극지원

○ 상수도 정보화사업 참여
○ 마을상수도시설 개선 시범사업 참여 및 기술지원

2-2. 공공환경시설 설치·지원

□ 하수종말처리장 등 하수도사업 추진

○ 하수도 민간투자사업 등 하수종말처리시설 22개소(3,544억원)
○ 한강수계 시범사업 등 하수관거정비 2,249㎞(16,449억원)
○ 하수관거정비 BTL 민간투자사업 2,862㎞(21,741억원)

□ 유역별 통합하수처리체계 구축 추진
○ 남강댐 등 7개 다목적댐 상류지역 534개 하수도 시설에 대해 2010년까지 유역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13,504억원)

□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에 대한 국고지원사업 추진
○ 파주 LCD 지방산업단지 등 11개소(3,240억원)

□ 지자체의 축산·분뇨 및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지원
○ 경주시 등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 5개소(425억원)
○ 강릉시 생활폐기물매립장, 양주시 소각처리장 등 26개소(4,238억원)

□ 낙동강수계 완충저류시설 설치 추진
○ 대구달성, 진주상평 등 4개 산업단지 시설 설치(685억원)

2-3. 한강수계 하수관거정비시범사업 성과지표 연구용역 완료


□ 성과보증지표 검토 용역이 ‘06.12.15에 완공됨에 따라
□ 기존의 I/I준공지표를 QA/QC 지표로 대체하여 향후 하수관거의 공사품질을 객관화·표준화 할 수 있도록 운용계획
※ 시공사와 I/I지표를 QA/QC 준공지표 변경 동의서 징구 완료

2-4. BTL 사업관련 계약질서 확립

□ 건설산업 양극화 해소 및 중견기업 참여확대
○ 시공능력평가(토건) 상위 10위 업체간 공동도급 제한
○ 건설사 시공참여를 4회 이하로 제한

2-5. 환경시설 기술진단 및 지원

□ 환경시설 기술진단
○ 하수처리기술 고도화에 따른 환경시설 기술진단 235개소 계획
□ 환경시설 기술지원
○ 환경기술이 부족한 중소기업 등에 기술지원 350개소 계획
○ 수도권지역 악취배출사업장 우선 기술지원 등 100개소 계획

사업 3. 환경기술 육성 및 기후변화 대응체계 강화

◇ 환경측정기기 형식승인 성능시험과 사용기기의 정도검사 활성화
◇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및 정책지원 강화
◇ 해외협력 및 기술교류 확대

3-1. 환경기술 육성

□ 환경측정기기 검사
○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3,790건 계획
○ 남부분소 구축 및 조기 가동 추진
○ 액체유량계 정도검사 제도 도입준비

□ 오수처리시설 등 검사
○ 오수처리시설 등 성능검사 300건 계획

□ 환경기술 개발·보급
○ 환경업체에서 국내·외 환경기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경기술전문서 발간·보급
○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기술개발 추진

3-2. 환경산업 육성 및 세계화 지원

□ 환경개선자금 지원
○ 7개 사업 1,156억원 지원계획
­ 지자체 : 중소도시지방상수도개발 등 3개 사업 408억원
­ 민 간 : 환경오염방지시설설치 등 4개 사업 748억원
※ 1~5년 거치, 2~10년 상환, 연 3.79~4.79%(변동금리)

□ 환경시설 효율성 제고 사업 지속 추진
○ 매립가스(LFG)의 자원화사업 (마산시와 ‘06년도 협약체결)
○ 자동차연료화 사업 추진(춘천시와 협약체결 협의 중)

□ 기후변화협약 대책사업 지원
○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ET) 추진기반 구축
○ 국가 온실가스 측정기반 구축
○ 청정개발체제(CDM) 운영기구(DOE) 지정
○ TMS를 활용한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 기후변화협약관련 제13차 당사국 총회 등 국제회의 참가 등
⇒ 교토메카니즘 기반구축 등 정부의 기후변화협약 대책이행 전문기관으로 발전

□ 해외협력 및 기술교류 확대
○ 베트남 사무소 운영 상주인력을 파견하여 국내환경산업 해외진출기반 조성
○ 토양 및 하수관거 유지관리 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해외기술연수 및 교육 강화
○ 아시아 진출 확대를 위한 세계은행 지식전파사업 등 협력활동 강화 등

사업 4. 공단설립 20주년기념 각종 업무추진

□ 창립행사 실시
○ 기념공연, 기념조형물 제작 등

□ 20주년 기념행사
○ 20주년과 관련된 공단사진 공모전, 어린이 환경 사생대회 등

□ 공단 도약을 위한 업무행사 등
○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수립, 공단비전선포식, 영상홍보물 제작, 20년사 발간, 각종 세미나 개최 등
⇒ 지속가능한 공단 발전 재도약의 해

웹사이트: http://www.emc.or.kr

연락처

환경관리공단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