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영세 의원, “관광통역안내사 노동조건 개선, 문화관광부가 나서야 할 때다”
이번 집회는 지난 1월 23일 대한여행사 앞 집회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의 판결과 중앙노동위원회의 복직 판결에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탓이다. 이는 관광통역안내사를 동등한 협상의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는 여행업체의 전근대적인 관행 탓이다.
그럼에도 관광통역안내사들이 사업자 대신 문화관광부를 찾은 데에 타당한 이유가 있다고 본다. 문화관광부는 정부 관광정책을 주관하는 주요 부처로서 관광업계에 만연되어 있는 여행사-관광통역안내사간 불공정한 관행에 대해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별다른 대책마련도 하지 않은 채 ‘노사문제는 노사 자율로 해결할 사항’이라며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상품강매, 특정 음식점 및 숙박업체 소개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단골로 토로하는 한국관광의 문제에는 관광통역안내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이 주요한 원인이다. 한달 급여 20만원에 1일 수당 7천원을 받는 관광통역안내사의 처지로는 한달 내내 가이드를 하더라도 50만원이 채 넘지 않는다. 그런 사정이니 특정 매점이나 음식점, 숙박업체를 알선해 준 대가로 지급되는 소개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관광규제 완화 등을 이유로 지난 2001년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시험을 없앤 까닭에 전반적으로 관광통역안내서비스의 질이 떨어졌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관광통역안내사의 처우 문제는 외국인 관광객의 불만사항 해소 및 관광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야 하는 문화관광부의 관광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핵심적인 사항인 셈이다. 그럼에도 문화관광부는 이제까지 관광통역안내사의 처우와 관련된 실태조사를 단 한 차례도 실시하지 않았을 뿐만이 아니라 한국관광통역안내사협회에서 진행해오던 교육예산을 전액 삭감하였다.
전문적인 인력 양성과 처우개선 없이는 관광산업의 발전이란 있을 수 없다. 문화관광부의 강력한 정책적 의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천영세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는 물론, 2007년 예산심의에서도 관광통역안내사 교육예산과 실태조사 예산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의 연장선 상에서 앞으로도 문화관광부 장관과의 면담, 임시회 업무보고 등 가능한 방법을 통하여 관광통역안내사의 처우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youngse.net
연락처
천영세의원실 보좌관 서진희 02.784.3143/ 02.788.2874/017.334.7577
-
2008년 1월 8일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