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진흥원, ‘SW Insight 정책리포트 특집호 - 웹 2.0 시대 컴퓨팅 패러다임은 변하는가?’ 보고서 발간
보고서는 웹 2.0 시대를 맞아 컴퓨팅 패러다임이 기존 PC중심에서 크게 웹의 플랫폼화, 서버 베이스 컴퓨팅 등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고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기술의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소비자 이용행태라고 보고 있다.
정책리포트에서는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를 다음과 같은 4 개의 보고서를 통해 자세히 들여다 보고 있다. 첫째로 「MS의 비스타, 마지막 윈도우?」보고서를 통해 대표적 기업인 MS의 전략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맞는 기업들의 전략 변화를,「데스크톱의 새로운 상업적 대안들」이란 보고서를 통해 리눅스와 같은 대안 OS시장이 부상하고 있음을 그리고「서버 베이스 컴퓨팅 (Sever Based Computing: SBC)」을 통해 기술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외에도 「웹 오피스의 현재와 미래」를 통해 웹의 플랫폼화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윈도우를 통해 PC기반 시장서 절대 강자로 자리 잡은 MS의 웹 플랫폼 시대를 맞이하는 전략을 분석한 「MS의 비스타, 마지막 윈도우?」를 이 회사가 비스타와 오피스 2007을 지렛대로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보고 다음과 같이 예시를 들었다.
▲ HD(High Definition)급 콘텐츠 복제를 금지하는 비스타의 DRM은 PC를 넘어 보다 광범위한 HW기업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는 핵심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 ▲ 윈도우와 웹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발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WPF(Wondiows Presentation Foundation)는 윈도우즈 플랫폼에 기반 해 서로 다른 개발환경을 통합시킨다는 점 ▲ 오피스가 단순 문서도구에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 등은 MS가 비스타와 오피스 2007를 지렛대로 새로운 플랫폼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 등이 그것.
다른 보고서에서는 데스크톱 시장의 OS가 윈도우 일색에서 리눅스와 같은 새로운 대안 시장들이 떠오르고 있는 현실과 전망을 분석하고 있다.
「데스크톱의 새로운 상업적 대안들」이란 보고서에서는 향후 2010년 리눅스와 같은 비 윈도우즈 OS가 탑재된 PC가 신규 PC의 10%를 차지할 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 떠오르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저가 PC시장에서 OLPC 등은 한해 5천만대의 판매를 목표로 한다는 점 ▲ 젠드로스나 린스파이어 등 상업적인 리눅스 대안이 나오는 가운데 최대 PC메이커인 델의 리눅스 PC시장 진출로 리눅스 시장은 본격적인 상업화의 시대를 맞이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되고 있다는 점 등이 이러한 전망을 낙관적으로 평가하게 한다는 것.
이러한 전망과 함께 보고서는 OS자체를 최소한의 중간자 내지 매개자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웹 OS란 화두가 시장을 두고 발생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 구글 PC라는 화두와 결부되어 잠재적이지만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논의되고 있음을 주지하면서, 실제 MS전략에 따라 비스타로부터 다양한 서비스가 시작되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구글 OS 시나리오는 현실화 가능성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변화는 흔히 리치 클라이언트(rich client)로 사용되는 통합된 OS 모델의 한계를 이미 전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서버 베이스 컴퓨팅 (Sever Based Computing: SBC)」제목의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서버 중심의 컴퓨팅 시장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보고서는 현재 SBC시장은 주류적인 컴퓨팅 환경이라기보다는 기존 클라이언트/서버, 웹 응용프로그램의 환경의 부족한 영역을 보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이러한 SBC의 모습은 현재 보안성 강화 등의 이유 때문에 주로 기업용 수요를 반영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보고서는 앞으로 윈도우가 아닌 데스크톱을 선택하는 일반소비자가 늘어날 때 서버의 역할이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에 여전히 의문이라고 평가하면서 결국 컴퓨팅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힘은 기술발전이 아니라 소비자 수요가 관건이라고 마무리 하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웹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 이용행태에 따라 컴퓨팅 패러다임이라는 기술적 변화가 완성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외에도 보고서는 「웹 오피스의 현재와 미래」를 통해서 웹 오피스라는 대표적인 웹 기반 서비스를 웹의 플랫폼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데스크톱 위의 대표적인 응용프로그램인 오피스 시장을 웹 오피스 시장으로 전환하는 문제는 곧 현재 제한적인 웹 플랫폼 환경의 발전방향에 대한 화두임을 지적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oftware.or.kr
연락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정책연구센터 문장원 책임 02-2141-5331
이 보도자료는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8년 6월 22일 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