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문화산업 경쟁력제고 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석호익) 미래전략연구실 이호영 책임연구원, 김희연 연구원 등은 최근 발간한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Ⅳ(06-04) :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문화산업 경쟁력 제고방안’ 보고서에서 문화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라 문화산업의 인력·매개/유통·소비자·산업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문화산업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문화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문화산업 인력구조를 분석하고, 문화예술의 공급측면과 수요측면간 적절한 연계를 통해 인력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교육제도 개선 ▲교육에서 일로의 전환과정 및 직종/장르간 이동과정 지원 ▲노동환경 개선 ▲문화예술 장르간/산업간 접점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보고서는 문화산업 유통과 문화매개자 분석을 통해 ▲수익창출 기반 강화 ▲문화매개자 활용 ▲정보제공과 교육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했으며, 문화소비자 분석을 통해 ▲문화콘텐츠 교육/체험/지원 확대 ▲문화예술 지식분야 강화 ▲행정 및 거래/협력 채널 강화를 주장했다. 또한 보고서는 문화산업 조직의 변동을 분석하고 ▲건강한 과점의 정착을 통한 경쟁구도 조성 ▲아시아 문화산업 네트워크 형성과 세계지위 확립 ▲CIT개발과 확산을 주장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연구진은 네트워크 사회 속에서의 문화산업의 미래를 염두에 두며 ▲문화산업의 요소간 네트워킹(Networking) 지원 ▲문화적 혼합(Cultural mixing) 장려 ▲결과물의 사회적 확산 지원 ▲의미 있는 문화적 삶의 재생산 등 네 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문화산업 인력양성·문화산업 네트워크 강화·문화산업 소비자 저변 확대·문화산업 구조개선·해외진출 등의 과제에서 다양한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문화산업계가 단기적 이윤추구에 집착하지 않고 예술적 완성도와의 조화를 이룬다면, 한국의 문화산업은 지속가능하면서도 의미 있는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주장했다.
웹사이트: http://www.kisdi.re.kr
연락처
미래전략연구실 이호영 책임연구원 02-570-4040
-
2009년 3월 31일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