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데스크, 레빗(Revit) 판매 지난해 100% 신장

서울--(뉴스와이어)--세계적인 설계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컨텐츠 회사의 한국 법인인 ㈜오토데스크코리아(대표 남기환, www.autodesk.co.kr)는 오늘, 빌딩 정보 모델링(BIM)을 위한 ‘오토데스크 레빗(Autodesk Revit)’ 소프트웨어 플랫폼 판매가 지난해에 전년대비 100% 증대돼, 20만 시트 기록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레빗 BIM 플랫폼 채택이 극적으로 늘어난 것은 건축가와 디자이너, 엔지니어들이 생산성을 높이고, 디자인 팀간 협업을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직면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은 레빗을 사용해서 빌딩의 성능과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디지털 모델들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지속 가능한 빌딩에 대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

오토데스크는 또한 건축가를 위한 2D 오토캐드(AutoCAD)기반 솔루션인 ‘오토캐드 아키텍처(AutoCAD Architecture,이전 Autodesk Architectural Desktop)’도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50만 시트 이상 판매됐다고 발표했다.

오토데스크의 제이 바트(Jay Bhatt) AEC 부문 수석 부사장은 “오토데스크 레빗과 오토캐드 아키텍처가 각각 20만 시트와 50만 시트 기록을 달성한 것은 산업이 안정적인 드로잉(drawing) 기반 프로세스의 혜택을 꾸준히 받으면서 급속하게 BIM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레빗 시트 보급 대수가 한 해 만에 2배나 늘어난 것은 BIM으로 전환한 건축가, 구조 엔지니어 및 기계/전기/배관(MEP) 엔지니어들이 실현한 엄청난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레빗 플랫폼은 오토데스크가 BIM-빌딩 프로젝트의 정합성있고, 일관된 컴퓨터 정보의 생성과 활용을 목적으로 개발한 솔루션이다. 이 같은 정보는 시설 운용과 관리뿐만 아니라 더욱 효율적인 디자인 결정, 정확한 건설 도큐먼트 생성, 성능 예측, 비용 평가 및 건설 기획을 위해서 긴요하다. 레빗 플랫폼의 핵심에는 강력한 패러매트릭 수정 엔진이 있어서 디자인, 도큐멘테이션과 분석 전반에 걸친 변화의 정합성을 유지시켜 준다. 레빗 플랫폼은 정보의 정합성을 유지하고, 최신 상태로 갱신해주며, 통합된 디지털 환경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해 건축가, 엔지니어, 시공사, 소유주가 프로젝트 전반의 비전을 투명하게 볼 수 있어 보다 나은 결정을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오토데스크의 AEC 솔루션은 빌딩 산업 전반을 망라해서 건축가; 구조 토목 및 MEP 엔지니어, 건설 협업 프로젝트 관리(CPM) 및 시설 관리를 위한 선도 기술의 완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 오토데스크 개발자 네트워크(AND)는 추진력에 박차를 가한다
현재까지 레빗 플랫폼과 오토캐드 아키텍처의 기능을 강화하고 확장해주는 150개 이상의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오토데스크 개발자 네트워크(ADN)에 의해서 개발됐다. ADN은 전세계 2700개 이상의 기술 협력 업체를 포괄하고 있어 오토데스크 솔루션이 고객 산업에 특화된 요구를 더욱 충족시켜 준다. ADN 회원사들은 산업 혹은 국가에 특정된 빌딩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결과 북미와 유럽 및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기업들은 오토데스크와 글로벌 파트너들이 제공하는 광범위하고 완전히 통합된 건축 솔루션에 접근할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면 ADN (www.autodesk.com/adn) 사이트를 방문하기 바란다.



오토데스크코리아 개요
오토데스크코리아(Autodesk Korea Ltd.)는 오토데스크의 한국법인으로 1992년 설립된 이래 국내의 설계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 독보적인 자리매김을 해왔다. 전 산업에 걸쳐 2D와 3D 캐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고객 중심의 토털 솔루션 업체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autodesk.co.kr

연락처

오토데스크코리아 허경미 과장 02)3484-3427, 이메일 보내기
beyond 배문선 실장 02)782-7241, 017-202-9091,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