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IT 고도화에 따른 미래 공공조직 구현 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석호익) 미래전략연구실은 IT 고도화를 비롯한 공공조직의 다양한 변화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한 ‘21세기 메가트렌드 시리즈 IV(06-06) : IT 고도화에 따른 미래 공공조직의 구현 방안’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는 IT 고도화에 따른 바람직한 미래 공공조직의 모습으로 지식정부, u-정부, 거버넌스 확대, 세계화 정부, 신뢰정부를 상정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 대안으로 ▲지식정부 구현을 위한 민간 지식포털 수준의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안정적 u-서비스를 위한 u-신뢰관리 조직 구축 ▲사전인지 및 대응(Sense and Response) 개념을 구현하는 실시간 맞춤형 서비스 제공 ▲대민서비스 창구의 변화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정책공동체 활성화 ▲글로벌 네트워크 조정조직 강화 ▲행정투명성 제고를 위한 ‘차세대’ 국가기록관리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러한 정책대안들이 추구하는 공통적인 방향은 크게 가상정부의 등장과 그에 따른 ‘내 손안의 정부’ 구현으로 볼 수 있다. 가상정부는 정보공유를 통해 조직의 수직적ㆍ수평적 통합은 물론 가상공간에서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가상통합을 이루면서 등장하는 정부의 모습이다. 이러한 가상정부는 한정된 범위의 공공기능과 대민서비스 처리 및 전달 기능을 갖고 현실정부와 경쟁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가상정부를 통해 조직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국민 중심의 새로운 대민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모습으로 ‘내 손안의 정부’를 가정해 보았다. 개인화된 웹 사이트인 MyGov로 대표되는 ‘내 손안의 정부’는 국민들이 연계돼 있는 모든 공공기관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관련 민원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해 국민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투명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공공조직과 일반 국민을 일대일로 연결시켜줌으로써 정보제공·서비스 제공·참여 촉진 등의 여러 목적을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을 마련하게 되는 셈이다.
인터넷 이용의 새로운 경향으로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Web 2.0 개념이 전자정부시스템에 의한 미래 공공조직 모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에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sdi.re.kr
연락처
미래전략연구실 정국환 실장 02-570-4265
-
2009년 3월 31일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