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진흥원, 국산 SW기업 웹 2.0 시대의 주역이 되기 위해 벤처캐피탈의 역할이 중요

서울--(뉴스와이어)--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원장 유영민)은 SW Insight(인사이트)정책 리포트 6월호, 「VC의 리스크와 기회: 웹 2.0 vs. 1.0」보고서에서 새로운 산업패러다임으로 진화하고 있는 Web 2.0 시대는 VC(Venture Capital:벤처 캐피탈 이하 VC)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최근 IT부문에 대한 VC의 전체적인 투자 금액이 감소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통신, 네트워크 분야는 급감한 반면 소프트웨어나 정보서비스 분야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IT영역 내에서의 성장 분야가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2004년 이후 세계 VC들의 Web 2.0기업에 대한 투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이는 곧 신기술의 미래가치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는 VC의 특성을 볼 때 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웹2.0 기업에 대한 VC들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성향은 미국에만 그치지 않고, 유럽과 그 뒤를 이어 중국에도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Web 2.0기업들의 업종별 분포 역시 IT소비자서비스 일변도에서 비즈니스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고서는 대표적인 웹2.0 기업인 구글의 성장 과정과 전략 분석을 통해 우리 웹2.0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VC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얘기하고 있다.

창고에서 시작한 구글이 기존의 웹기반 플랫폼으로의 전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선도 기업으로 성장한 데는 이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고 투자한 엔젤투자가와 많은 VC가 존재했다는 것과 기업인수와 다양한 제휴관계를 최대한 활용했음에 있으며 이는 국내의 웹2.0기업과 VC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보고서는 얘기하고 있다.

구글의 사례에서와 같이 VC들의 투자가 웹 2.0 기업에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기업의 성장을 위한 총 자본소요량은 전저후고(前低後高)의 패턴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웹 2.0 기업은 저렴한 하드웨어, 공개SW 인프라, 검색엔진 마케팅과 같은 시장 환경으로 인해 시장진입을 위한 초기 필요자본규모는 적어지고 본격적인 성장기가 될수록 비용이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VC는 투자의 위험도를 줄일 수 있어 투자가 용이하게 된다.

반면 국내 VC투자에서 정보통신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최근 전체 투자의 50%에도 못 미치고 있으며 초기단계의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 역시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T분야에서 혁신형 벤처기업의 창업과 시장진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SW진흥원의 정중호 박사는 “Web 2.0 트렌드가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 인터넷과 연관이 높은 산업 중심으로 가치사슬 변화를 촉진함으로써 새로운 산업질서가 도래하고 있다”고 말하고, “이러한 산업패러다임의 전환은 국내 SW벤처와 VC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며, 좀 더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웹사이트: http://www.software.or.kr

연락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정책연구센터 정중호 수석 02-2141-533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