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인터넷·IT활용’ 신뢰제고 해법 찾아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석호익) 미래전략연구실 최항섭 연구위원, 박현주 연구원 등은 최근 발간한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Ⅳ(06-09) : ‘사회적 신뢰제고를 위한 IT 정책 연구’ 보고서에서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신뢰문제를 ▲제도에 대한 ▲지식인에 대한 ▲공동체 성원들 간의 상호신뢰로 분류, 기존 정책보고서의 내용 리뷰 및 비판과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신뢰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한국사회의 신뢰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견조사를 통해, 업무능력에 있어서 가장 높은 신뢰를 받고 있는 기관이 대기업,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기관이 국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기업, 중소기업, 신문사, TV방송국, 의료계, 금융기관 등 민간기관의 경우 전반적으로 능력에 대한 신뢰보다 도덕성에 대한 신뢰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기관에 대해서는 능력은 인정하지만 도덕적인 차원에 있어 아직 개선해야 할 여지가 많은 기관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각종 부패 및 부조리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들에 대한 신뢰 역시 조사했다. 전반적으로 개별 정책이나 제도의 중요도에 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가장 시행에 있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정책은 ‘인터넷을 통한 행정민원처리’제도와 ‘일반시민의 위법행위에 대한 처벌’로 나타난 반면 ‘경제인 부패, 비리에 대한 판결’이나 ‘정경유착 방지 정책’, ‘법조계 부패 및 비리에 대한 판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한편 보고서는 사회적 신뢰 제고를 위해 오프라인 세계의 통상적인 해법 모색 이외에 인터넷을 활용한 해법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쌍방향성, 익명성,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공간 확장은 부정부패와 관련된 각종 정보의 공개 또는 고발을 용이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던 수많은 집단과 개인들이 각자의 관심과 주장을 가감 없이 표출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보고서를 통해 연구진은 한국사회의 신뢰 제고를 위해 양질의 거버넌스 제공뿐만 아니라 IT를 활용한 ▲e-감사제 활성화 ▲전자입찰제 확대 ▲논스톱 온라인 통합 민원행정시스템 구축 ▲온라인 정책공동체 활성화 ▲예산정보 공개 ▲온라인 시민참여 통합콜센터 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웹사이트: http://www.kisdi.re.kr
연락처
미래전략연구실 최항섭 연구위원 02-570-4090
-
2009년 3월 31일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