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시급하다

서울--(뉴스와이어)--기후변화 정책 분석 모델 (PAGE, Policy Analysis of Greenhouse Effect)을 이용해 여러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의 피해 비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의 민감도는 경제 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들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분야별 영향평가가 이루어져야 보다 구체적으로 정량적인 기후변화의 피해함수 추정이 가능할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정도는 온실가스 배출량, 이산화황 배출량, 적응정책의 정도, 경제 성장, 인구 성장 등 많은 인자들의 영향을 받는다. 미래의 여러 상황에 따른 기후변화의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A2, B1, Kyoto등의 3가지 시나리오를 PAGE 모델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만일 전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아무 대책도 실행하지 않는다면 2100년 한국은 약 3도 정도의 온도상승이 예측되고 이로 인해 연간 약 58조원 (최소 2조에서 최대 328조원)정도의 피해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 2000년에서 210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누적 피해비용은 약 922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모델링 결과는 적응정책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응정책이 온실가스 감축 대책과 비견할만한 중요한 기후변화 대응정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적응정책이 실시된다면 2100년에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약 59조원에서 47조원으로 11조 정도의 피해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시급한 주요 적응대책으로는 기후변화와 연관된 수자원 관리계획의 수립, 기후 관련 재난 방재 시스템 구축, 기후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경작방법의 개발, 고온 경보 시스템의 도입을 들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kei.re.kr

연락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기후변화연구실 채여라 02-380-776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