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학기술원, 전국의 토양특성을 인터넷으로 검색 가능

서울--(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토양관리과는 영·호남농업연구소와 공동으로 친환경 과학영농의 기반 강화를 위하여 1998년부터 9년 동안 수행한 “농업토양환경정보 DB화 사업을 완료하여 한국의 토양정보시스템(http://asis.rda.go.kr)을 운영함으로써, 전국 토양에 대하여 누구나 가까이에서 내 고장의 토양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의 토양정보시스템은 1:5,000 축척의 상세한 토양 전자지도 서비스를 통하여, 쉽게 변하지 않는 토양의 형태적 특성(유효토심, 배수등급, 지형, 자갈함량 경사 등)과 심토와 표토의 토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 정보를 행정구역별 지도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필지별로 채취·분석한 토양 화학성 자료를 열람하고, 필지별 토양성적에 근거한 시비처방서를 발급받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토양은 표토에서 심토까지의 특성을 망라한 것으로 지형과 상관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 눈으로 보거나 촉감으로 판단하는 것만으로 어떤 토양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한국의 토양정보시스템은 전문가가 조사하여 분류한 토양의 특성을 인터넷을 통하여 누구나 전국에 대해 검색·열람할 수 있도록 토양 전자지도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원하는 지역의 토양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필지별로 채취·분석한 토양 화학성 자료를 열람하고 시비처방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기능은 인터넷과 담당자용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구분되어 제공되고 있다.

현재 61개 시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담당자용 시비처방 프로그램은 시·군 토지정보시스템 및 농촌행정시스템, 토양정보와 연계되어 시비처방에 필요한 토양특성(토성, 배수등급)과 경작지 면적, 작물, 경작자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계 이용할 수 있다.

2005년부터 2007년 5월까지, 홈페이지 방문자 수는 약 36만명에 달하고, 도엽단위 파일형태로 제공한 수치토양도의 수는 약 30,000 도엽이며, 필지별 시비처방 발급 실적은 약 420만 건 등 활용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토양정보를 사용하는 그룹은 크게 농업현장, 건교부·환경부 등 유관기관, 대학·연구소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농업현장에서는 토양특성 파악, 토양 분석 성적에 근거한 작물별 시비처방 추천 등, 유관기관에서는 각종 환경평가, 재해예측, 국토개발 계획 등 정책지원 용역 등 대학·연구소에서는 수자원, 생물종다양성, 환경계획, 영향평가 등의 연구에 토양정보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지난 6월 13일~15일 3일 동안 건설교통부가 주최하고 한국토지공사와 국토연구원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GIS KOREA 2007(서울, aT센터)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GIS 혁신경진대회에 공공부문 활용우수사례로 “농업토양환경정보 DB화” 사업 결과 만들어진 “한국의 토양정보시스템”을 출품하여 금상(건설교통부 장관)을 수상한 바 있다.

국토의 토양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요자가 요구하는 각종 토양정보를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지식기반 토양관리 연구 및 행정업무 지원체계를 확립할 뿐만 아니라 토양분석 성적에 근거한 효율적 토양관리 처방, 정책추진을 위한 다양한 통계자료, 어린이를 위한 토양 설명 등 한국의 토양에 대한 포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의 토양정보서비스는 앞으로 사용자의 요구도에 따라 토양 전자지도를 지번별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이며, 업무담당자의 시비처방서 발급업무를 돕고자 도면검색에 따른 경작자 정보 열람이 웹 환경에서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를 차차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www.niast.go.kr

연락처

농업과학기술원 토양관리과 홍석영 연구사 031) 290-028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