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진흥원, ‘미래시장을 위한 성공조건 : 오픈소스’

서울--(뉴스와이어)--기업간 제휴 및 연합관계에 있어서 상용과 오픈소스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고 변화하고 있는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오픈소스를 적극 포용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원장 유영민)은 ‘SW Insight(인사이트) 정책리포트’ 9월호에 실린 「기업간 합종연횡 : 상용과 오픈소스의 경계를 넘어」라는 보고서를 통해서 현재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고 있는 인텔의 초소형 PC를 위한 리눅스 채택과 MS와 일련의 오픈소스 기업(노벨, 젠드로스, 린스파이어)과의 전략적 제휴 사례를 두고 그 의미와 새로운 국면에 대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최근 인텔은 초소형 PC를 위한 플랫폼으로 리눅스를 적용하기로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보고서는 플랫폼 중립성이 견지된 리눅스 배포판인 우분투(Ubuntu) 등과 같은 오픈소스 생태계를 지원하여, 초소형 PC 시장에서 웹기술과 콘텐츠를 위한 플랫폼 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편, 최근 MS는 일련의 오픈소스 기업(노벨, 젠드로스, 린스파이어)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껴안기’에 나서고 있다. 전략적 제휴 내용에는 공통적인 제휴 키워드인 ▲ 상호 운용성과 ▲ 특허 협의가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다.

보고서는 전략적 제휴 이면에는 MS 자신의 플랫폼을 더욱 확장하려는 전략이 내포되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특허협의와 관련해서는 오픈소스 기업들을 협상테이블로 불러들이는 압력체로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MS에게 오픈소스 특허보호는 시장에서 자신의 지적재산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수단적 의미를 갖는다고 평하고 있다. 최근, 오픈소스 진영이 MS의 특허 235개를 침해하고 있다는 MS의 주장과 결부되어 오픈소스 기업과의 특허 협의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논쟁 중에 있다.

보고서는 오픈소스가 시장의 주류로 편승하면서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적 단초가 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MS의 플랫폼 확장을 위한 전략들이 잠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오픈소스 기업의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oftware.or.kr

연락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정책연구센터 문장원 책임 02-2141-533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