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지구환경硏 ‘한국 기상이변 지수’ 개발 필요성 제기
연구소가 이번 보고서를 쓰게 된 이유는 올 여름 날씨를 평년(1971~2000년의 30년 평균)과 비교할 경우, 언론 보도나 체감날씨와 크게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8월(8/1일~8/28일 현재)의 주요 6대 도시 평균기온은 평년 對比 1.2℃~2.6℃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평년 수준에 해당한다. 특히 강수량은 체감날씨와 달리 평년 對比 33.6%~100.5% 수준에 불과했다.
연구소는 체감날씨와 기후통계와의 차이를 그대로 두면 기상이변 적응대책 추진에 있어 각 경제주체의 행동양식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그 원인과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인식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날씨변화가 지역별로 극심해지고 1日 변화폭도 커지면서 '평년'이라는 기준이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상이변에 판단 기준이 다양하고 통일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연구소는 대안으로 ▶ 기온, 강수량, 풍속 등 기후지표 외에 체감적인 생활지표, 경제지표를 포함한 (가칭)'한국 기상이변 지수(KOSWI : Korea Severe Weather Index)의 개발 ▶ 1998년 이후 10년에 지난 시점에서 최근 기상이변 현상에 대한 종합적인 중간평가 실시 ▶ 극심한 날씨변화에의 사회 적응시스템 개발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상이변을 일상 날씨변화 패턴으로 간주하고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학계는 한국의 기후변화 및 그 패턴에 대한 연구 활성화 및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며, 언론은 정부나 학계가 구체적인 정책 및 대안을 제시하도록 유도하고 국민들에게는 과학적이고 입체적인 기상이변 정보를 전달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연구소는 지난 3월 제시한 '2007년 4대 기상재해' 중 오는 9월에도 국지성 폭우, 늦더위, 강풍에 대한 대비가 계속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삼성지구환경연구소 개요
삼성지구환경연구소는 지난 1993년에 설립된 국내 산업계 최초의 환경안전전문 연구소로서 삼성의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 녹색경영을 전파하는 중추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greensamsung.com
연락처
정예모 수석연구원 02-3458-3143, 019-215-9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