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세계여성포럼 ‘여성과 IT’ 세션 9월 13일(목) 개최
13일 개최되는 <여성과 IT> 세션에서 석호익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IT와 모바일 기술이 젠더 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인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밝힐 예정이다. IT·모바일 기술이 여성들에게 기존의 것과는 차별되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는 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성들은 자신들의 권익을 스스로 찾아갈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어 허운나 정보통신대학교(ICU) 총장의 사회로, 바바라 바우어(Barbara Bauer) 글로벌사이트 파트너즈(GlobalSight Partners) 대표(전 Sun Microsystems 부사장), 김명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로나 라이트(Lorna Wright) 캐나다 요크대(York University) 교수, 김교정 APEC 여성 e-비즈센터장의 발표와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이 날 발표자로 나서는 바바라 바우어(Barbara Bauer) 글로벌사이트 파트너즈(GlobalSight Partners) 대표(전 Sun Microsystems 부사장)는 ‘여성과 디지털경제: 현재와 미래의 변화’를 주제로 전세계적으로 IT산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비중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진단한다. 나아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공통으로 해당되는 문제점(▲디지털경제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부족 ▲여성이 디지털경제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편견 ▲학교 교육을 통해 디지털경제로 이어지는 연결 과정이 여성을 끌어들일 만큼 매력적이지 않음)을 역설할 것으로 보인다.
김명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은 ‘이동전화를 통한 어머니 노릇하기’라는 제목으로 IT, 특히 모바일 기술이 모성의 영역에 미친 변화를 소개한다. 김 회장의 발표 내용에 따르면, 오늘날 한국 어머니들은 부재중에 끼니를 챙겨주거나 외출중인 자녀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등 도구적인 용도로만 휴대전화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들에 대한 감성적인 지지자의 역할을 하는 데에도 휴대전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 모바일을 통한 모성 환경의 변화를 짐작하게 한다.
로나 라이트(Lorna Wright) 캐나다 요크대(York University) 교수는 ‘모바일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여성 사업가에 미친 영향’이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그간 주로 서비스 분야에 치중되어 있으며 가정에 대한 의무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던 여성 기업인들이 가내사업과 같은 소규모 기업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경제 활동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IT기반 여성 창업 모델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김교정 APEC 여성 e-비즈센터장은 ‘젠더 측면에서 본 모바일과 ICT 정책 개발’을 주제로 APEC의 e-BIZ, WeBIZ(Asian Pacific Women's e-Business) 프로그램, WSIS의 활동 등을 소개하고, 나아가 성인지적인 IT, MT라는 국제 아젠다 속에서 국내 IT 정책이 개발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www.kisdi.re.kr
연락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배명훈 연구원 570-4312
-
2009년 3월 31일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