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투신운용, ‘교보 글로벌 CEO 주식펀드’ 출시

서울--(뉴스와이어)--최근 한국의 기업을 보면 해당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전문경영인이 주류로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기업으로 발돋움한 이병철회장의 삼성과 정주영회장의 현대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뛰어난 창업자가 일구어낸 오너기업 또는 가족경영기업의 성과 또한 장기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성공사례는 국내를 벗어나 세계로 눈을 돌려보면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콴트家가 이끄는 BMW, 윌튼家의 월마트, 스티브잡스의 애플컴퓨터와 세르게이 브린의 구글에서 볼 수 있듯이 오너기업과 가족경영기업은 전문CEO가 경영하는 일반기업에 비해 높은 성과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

<포춘>지가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 가족경영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37%에 달하며 94년부터 2000년까지 500대 기업의 경영성과를 조사한 결과, 가족경영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19.6%, 자산수익률 11.6%로서 비가족 기업의 13.8%, 10.9%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영성과는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주식시장에서도 증명되고 있다.

크레딧스위스(Credit Suisse)가 유럽의 가족경영기업을 대상으로 1996년부터 2006년까지 10년간의 주식성과를 조사한 결과 벤치마크인 Pan European Dow Jones Stoxx 지수대비 연평균 8% 초과수익을 올렸으며 미국을 대상으로 한 경우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가 50%이상의 기업지분을 보유한 가족경영기업을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의 주식성과를 조사한 결과 MSCI 유럽지수대비 연 평균 16%의 초과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보투신운용(대표 김석규)이 2007년 10월 1일 출시하는 ‘교보 글로벌 CEO 주식형 펀드’는 이러한 뛰어난 오너기업 및 가족경영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 투자펀드이다.

동펀드의 투자철학은 단순하다.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해당기업에 투자한 오너기업 및 가족경영기업은 전문CEO가 경영하는 기업과는달리 단기적인 경영성과에 연연하지 않고 기업의 장기성장을 위해 과감한 투자와 혁신을 이루며 책임경영을 통해 성장을 지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교보투신 AI팀의 한철기부장은 “기존의 주식형펀드는 좋은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기업의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등 단기적 수치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방식이라면 교보 글로벌 CEO펀드는 기업의 장기적 성패가 기업가의 비젼과 혁신성에 달려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뛰어난 오너기업가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중심의 투자방식”이라고 밝혔다.

해외자산운용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의 하나인 AXA Group의 자회사인 AXA IM이 담당하게 된다.

‘교보 글로벌 CEO펀드’와 동일한 운용방식으로 현재 운용되고 있는 동사의 AXA WF Talents펀드는 설정일인 2001년 8월 24일부터 2007년 8월 30일까지 누적수익률 137%로 벤치마크 지수인 MSCI World지수 대비 81.6% 초과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S&P에서 최고등급인 5Star(★★★★★)에 획득하였으며 펀드매니저인 ‘샤를 피르멩 디도’는 Citywire社로부터 펀드매니저 최고등급인 AAA에 랭크 되어있다.

기업은행과 SK증권 전지점을 통해서 판매되며, 선취형인 A class는 선취 1.0% 총보수 1.95%이며 보수형인 C class는 총보수 2.95%이다.

웹사이트: http://www.kyoboitm.co.kr

연락처

교보투신 상품전략팀 금정섭 과장 767-964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