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예비특보, “부도어음 남발”

서울--(뉴스와이어)--기상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기상청이 방재기관에 미리 발표하는 ‘예비특보’의 정확도가 낮고, 선행발표시간이 짧아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김희정의원(한나라당)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02년 이후 연도별 예비특보 발표현황>에 따르면 2007년 1월부터 8월까지 발표된 예비특보의 정확도는 2002년 82.2%(602건/732건)보다 25.7% 낮아진 56.5%(332/588건)로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특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경우 방재기관에서 신속대처가 어려워 재난방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 재난전문가, “재난대비하려면, 12시간전 발표 돼야”

또한 2002년부터 2007년 8월까지 예비특보가 실제특보로 이어진 2903건을 대상으로 예비특보가 얼마나 먼저 발표되었는지(즉, 선행발표시간) 조사해본 결과, 12시간 미만이 19.8%(574건), 6시간 미만이 24.9%(724건)으로 집계되었다.

기상재난에 대비하려면 예비특보가 통상 12시간 전에는 발표되어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2002년이후 예비특보의 44.7%(12/6시간 미만)가 본래의 기능을 다 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김희정의원은 이에 대해 “계속해서 예비특보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실제특보와의 시각차가 촉박하게 되면 예비특보 자체가 무의미하다”며 “악기상에 대비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해야 하는 기상청의 개선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khjkorea.com

연락처

김희정의원 최상구 사이버팀 비서 02-788-2203 휴대폰 010-7979-15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